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6.1℃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5.5℃
  • 맑음대전 17.0℃
  • 구름조금대구 16.3℃
  • 구름많음울산 16.8℃
  • 구름많음광주 17.2℃
  • 흐림부산 17.2℃
  • 맑음고창 16.2℃
  • 흐림제주 15.5℃
  • 맑음강화 15.1℃
  • 맑음보은 14.9℃
  • 맑음금산 15.7℃
  • 구름많음강진군 16.1℃
  • 구름조금경주시 17.0℃
  • 흐림거제 15.7℃
기상청 제공

도, 테크노밸리·3기 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사업 자족활성화 TF 구성

“산업, 주거, 문화, 여가, 상업이 어우러지도록”


○ 대규모 개발사업의 자족기능 활성화를 위한 민․관․전문가 참여 TF 구성 
○ 테크노밸리 등에 ‘직(職, Work)-주(住, Live)-락(樂, Play)’ 컨셉 실현

경기도가 테크노밸리 5개소, 3기 신도시 11개소 등 도내 대규모 개발사업들이 산업·주거·문화·여가·상업 등 자족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도, 시·군, 전문가, 사업시행자가 함께하는 ‘자족활성화 TF(특별조직)’를 운영한다.
경기도는 2일 도청에서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 주재로 행정수석, 도시주택실장, 도시재생추진단장, 경제투자실장, 미래성장산업국장, 문화체육관광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테크노밸리․3기신도시 자족활성화 TF 구성회의’를 열었다.
이번 TF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1월 사업 추진 시 실국간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테크노벨리 조성과 관련해 기반 조성, 사업내용, 기업 유치 및 지역사회 협의 등 실국 간 협업을 위해 TF를 구성하라”고 특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자족활성화 TF’는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와 이성 경기도 행정수석을 중심으로 ▲(경기도) 도시주택실, 경제투자실, 미래성장산업국, 문화체육관광국, 청년기회과 등 ▲(시·군) 주거, 산업, 생활SOC 관련 부서 등 ▲(전문가) 경기연구원, 경제과학진흥원, 각종 기업협회, 민간기관 등 ▲(사업시행자) 경기주택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시․군 소속 공사 등으로 구성한다. 테크노밸리, 3기 신도시 등 도내 대규모 개발사업의 입주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운영한다.
이와 관련해 도내 대규모 개발사업은 제3판교 등 테크노밸리 5개소 688만㎡와 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 11개소 5천923만㎡ 규모로 추진 중이다. 이중 각각의 자족기능용지는 테크노밸리 248만㎡, 3기 신도시 524만㎡ 등 총 772만㎡로 여의도 면적의 2.6배 이상이다. 도는 선도사업으로 제3판교 테크노밸리를 선정해 이달부터 TF 주도로 세부 운영계획 수립 등 구체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우선 ‘직(職, Work)-주(住, Live)-락(樂, Play)’을 기본전략으로 설정했다. 기존 신도시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장거리 출퇴근’, ‘주말․야간 공동화’ 등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내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 일하고 머물고 즐기며 성장한다’라는 복안이다.
산업기능 외 주거, 문화․여가․상업 등 다양한 기능이 어우러지는 융복합도시를 조성하고, 기업과 산업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벤처스타트업 등을 지원하는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단순한 산업시설용지가 아닌 다양한 기능이 복합돼 일자리를 만들고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주·야간 활력 있는 공간이 중요하다”며 “TF 참여 기관·부서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융복합 자족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참고

경기도 테크노밸리 및 3기 신도시 사업 현황

 
테크노밸리 5개소

구 분

3판교

테크노밸리

고양일산

테크노밸리

경기양주

테크노밸리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개요

위치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일원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일원

양주시 남방동, 마전동 일원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마북동, 신갈동 일원

광명시 가학동, 시흥시 논곡동 일원

면적

(자족)

583

(123)

872

(404)

218

(121)

2,757

(730)

2,449

(1,098)

인구

9,242

(3,672)

3,600

(1,498)

-

28,125

(10,416)

10,795

(4,315)

금액

13,756억원

8,493억원

1,104억원

62,851억원

24,002억원

기간

’18~’25

’16~’26

’17~’24

’19~’29

’18~’26

시행

, 성남시,

LH, GH

, 고양시,

GH, 고양도공

, 양주시,

GH

, 용인시,

GH, 용인도공

LH(일반, 유통), GH(첨단, 주거)

도입기능

ICT기반 신산업 육성, 판교지역 정주여건 보완

미디어·콘텐츠, 바이오·메디컬, 첨단제조 등

섬유·패션·

전기·전자 기반 첨단제조·연구개발 등

첨단산업, 상업, 주거, 문화·복지 등

 

첨단R&D, 제조, 유통, 주거

 

  
3기 신도시 11개소(전체면적 100이상)

구 분

남양주왕숙

남양주왕숙2

하남교산

과천과천

고양창릉

개요

위치

남양주시 진접읍, 진건읍 일원

남양주시 일패동, 이패동 일원

하남시 교산동, 덕풍동, 상사창동, 신장동 등 일원

과천시 과천동, 주암동, 막계동 일원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동산동 등 일원

면적

(자족)

9,377

(617)

2,393

(135)

6,862

(682)

1,687

(362)

7,890

(281)

인구

130,998

(52,380)

34,709

(13,878)

77,925

(33,037)

17,750

(7,100)

86,222

(35,925)

기간

’19~’28

’19~’28

’19~’28

’19~’25

’20~’29

시행

, LH, GH

, LH,

GH, 남양주도공

, LH,

GH, 하남도공

, LH,

GH, 과천도공

, LH,

GH, 고양도공

구 분

안산장상

부천대장

광명시흥

의왕군포안산

화성진안

화성봉담3

개요

위치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장하동, 수암동 등 일원

부천시 대장동, 오정동, 원종동, 삼정동 일원

광명시 광명동, 시흥시 과림동 등 일원

안산시 건건동, 군포시 도마교동, 의왕시 초평동 등 일원

화성시 진안동, 반정동, 반월동 등 일원

화성시 봉담읍 일원

면적

(자족)

2,213

(150)

3,420

(419)

12,711

(1,392)

5,864

(794)

4,525

(349)

2,286

(58)

인구

33,745

(14,593)

43,852

(19,066)

167,500

(70,445)

91,174

(40,790)

71,664

(29,860)

42,063

(17,526)

기간

’20~’27

’20~’29

’22~’31

’23~’31

’23~’30

’22~’30

시행

, LH,

GH, 안산도공

, LH,

부천도공

(예정), LH, GH(예정)

(예정), LH, GH(예정)

(예정), LH, GH(예정)

, LH

GH(예정)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국환경공단, 악취방지법 시행 20주년 기념 성과와 미래 모색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24일 여수 히든베이호텔에서 악취관리 현안 점검과 미래전략 수립을 위한 “제2차 K-eco와 함께하는 기후ㆍ대기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악취방지법 시행 20년을 맞아 국내 악취 관리의 현주소를 돌아보고 향후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지난 3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포럼에 이어 진행되는 두 번째 정책 포럼*이다. * 공단은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기후·대기 환경 이슈에 대해 다각적 해법을 모색하는 정책 포럼을 매월 정례화해 정책개선 및 기술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있음 특히 이번 포럼은 사단법인 한국냄새환경학회 정기학술대회와 공동 으로 산·학·연·관이 함께 참여해,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와 사례를 공유하는 열린 소통과 논의의 장이 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환경부, 공단, 악취진단협회, 학계, 산업계 등 약 70명이 참석해 총 4건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이 이루어졌다. 1부 주제 발표에서는 ▲악취 배출시설 분류 및 관리기준의 고도화 필요성(송지현 세종대 교수), ▲악취관리 주체 간 협력방안(장연규 악취진단협회장), ▲도심 속 생활악취 현황과 해결과제(정주영 공단 차장), ▲악취관리 20년과 나아갈 미래(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넘어짐 사고’ 5년간 600건 육박…서울교통공사 예방 총력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지하철 역 구내에서 발생한 ‘넘어짐 사고’가 총 597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역내 사고 2,387건 중 25%를 차지하는 수치로, 연 평균 119건, 월 평균 10건 꼴로 발생한 셈이다.특히, 전체 사고 가운데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에서 발생한 사고는 275건으로, 전체 ‘넘어짐 사고’의 46%를 차지했다. 환승을 위해 서두르다 계단에서 발을 헛디디거나, 에스컬레이터 이용 중 중심을 잃는 사례가 주요 원인이다. 이 중 다수는 출퇴근 시간대, 열차 도착 정보를 보고 급히 움직이던 승객들이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경우로 파악되고 있다.서울교통공사는 이 같은 사고를 줄이기 위해 사고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위험 지역을 선별,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 안전 강화를 위한 홍보 캠페인을 주기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시간대에는 안내방송을 집중 송출해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더불어, 행선안내게시기에는 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영상을 상영하여 시민들에게 안전 수칙을 자연스럽게 인지시킬 예정이다.이와 함께 공사는 주요 혼잡역에 '시니어 승강기 안전단' 582명(49개 역)과 '지하철 안전도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