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22.9℃
기상청 제공

식품 중 중금속(4종) 기준‧규격 재평가 결과 공개 <비소‧무기비소‧수은‧메틸수은>

-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이나 섭취량‧식습관 고려할 때 노출량 관리 필요 -
- 현미의 무기비소 기준 신설 추진, 섭취 가이드 홍보 등 관리 강화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올해 식품 중 비소, 무기비소, 수은, 메틸수은 등 중금속 4종에 대한 기준‧규격 재평가를 실시한 결과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이라고 평가했으나, 섭취량‧식습관 등을 고려해 현미에 대한 무기비소의 관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ㅇ 식약처는 환경‧식습관 등 변화를 고려하여 우리 국민의 오염물질 노출수준을 평가하고 안전관리 기준을 재검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준‧규격 재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 이번 중금속 기준‧규격 재평가는 2016년 1차 평가에 이어 2차로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비소, 무기비소, 수은, 메틸수은을, 2023년에 납, 카드뮴, 주석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추진됩니다.
    *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기본계획」 1차(’15년~’19년) 및 2차(’20년~’24년) 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준·규격 재평가 수행
   

연도

2차 기본계획(’20’24)

2020

2021

2022

2023

2024

대상

물질

아플라톡신 3

곰팡이독소5

중금속4

중금속3, 벤조피렌

다이옥신, PCBs

3-MCPD


□ 재평가 결과 중금속 4종 모두 우리 국민의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됐으나, 섭취량과 식습관을 고려할 때 노출량* 관리가 필요한 식품에 대하여 ▲기준 신설 ▲섭취가이드 홍보 등 추진할 계획입니다.
    * 노출량 : 식품 중 오염도와 식품의 일일섭취량을 곱한 후 체중으로 나눈 값으로 식품 섭취로 인해 하루 동안 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양
 ㅇ (기준신설) 그간(`16년 평가) 현미에 대한 무기비소의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농산물 형태인 현미를 제외하고 현미를 원료로 사용한 모든 가공식품에는 무기비소 기준*이 설정되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현미 자체에 대한 무기비소의 기준 설정 필요성은 낮았습니다. 
    * 무기비소 기준(붙임 2 참조) : (백미) 0.2mg/kg 이하, (현미, 미강, 쌀눈, 톳 또는 모자반을 사용한 가공식품) 0.1~1mg/kg 이하 
   - 이번 재평가 결과에서도 식품 섭취로 인한 무기비소의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이었으나 노출량이 증가한 현미*의 선제적 안전관리를 위해 관리기준을 국제기준(CODEX) 수준인 0.35mg/kg 이하로 설정할 계획입니다.
    * 재평가 결과, 현미는 백미 다음으로 무기비소 노출량이 높은 식품으로 백미는 무기비소의 기준이 설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현미는 기준 미설정 
      [현미의 노출량 변화 : (’16년) 0.008 → (’22년) 0.015 ㎍/㎏ b.w./day]
   - 현미(농산물)에 대한 무기비소의 기준을 신설하게 되면 쌀 수입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현미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 [쌀 수입량(’20년 기준) : (백미) 83,528톤, (현미) 443,191톤]
 ㅇ (섭취가이드 홍보) 톳‧모자반의 무기비소와 생선의 메틸수은에 대한 우리국민의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기준 설정·운영)되고 있어 기준 강화의 필요성은 낮지만, 국민에게 보다 적게 노출될 수 있도록 조리‧섭취가이드를 제공‧홍보할 예정입니다.
   - 톳‧모자반을 물에 불려 끓는 물에 삶아서 사용하면 무기비소의 대부분(약 80%)은 제거됩니다. 
   - 다랑어, 참치 등 메틸수은 함량이 높은 생선을 너무 많이 섭취하게 되면 태아나 어린이의 신경계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임신‧수유부, 영유아, 10세 이하 어린이 등에게는 생선의 적정 섭취량*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 예시)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1회 제공량/주간 섭취횟수) : 임신·수유부(60g/6회), 1~2세(15g/6회), 3~6세(30g/5회), 7~10세(45g/5회)
□ 식약처는 앞으로도 변화하는 식생활 환경에 따라 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금속 등 유해오염물질의 기준‧규격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고 그 결과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겠습니다.
 ㅇ 참고로 중금속 재평가 보고서는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 전문정보 > 잔류·유해물질 정보 > 오염물질 정보> 재평가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붙임> 1. 중금속(4종) 기준·규격 재평가 결과
       2. 식품 중 무기비소 기준
       3. 식품 조리·섭취 가이드 

붙임1

 

중금속(4) 기준·규격 재평가 결과


단위 : (오염도) / (노출량) /b.w./day

 

중금속

오염도, 노출수준

관리방안

비소

(오염도1)) 0.767

(노출량2)) 3.098(평균)8.120(극단)

(’16년 대비) 노출량 15.1% 감소

(기준) 현행 유지

무기비소*

(오염도) 0.142

(노출량) 0.429(평균)1.290(극단)

(위해도3)) 33.4%

(기준) 현미에 기준 신설

: 0.35 mg/kg 이하

(기타) ·모자반 조리·섭취가이드 지속 홍보

수은

(오염도) 0.033

(노출량) 0.085(평균)0.332(극단)

(위해도) 7.7%

(’16년 대비) 노출량 11.8% 증가

(기준) 현행 유지

메틸수은

(오염도) 0.053

(노출량) 0.013(평균)~0.034(극단)

(위해도) 4.7%

(’16년 대비) 노출량 18.8% 감소

(기준) 현행 유지

(기타) 생선 섭취가이드 지속 홍보

* 평가 품목수 및 섭취량 차이가 커서 16년 노출량 평가와 직접 비교가 어려움

 

1) 오염도 : 식품 중 오염물질 함량

2) 노출량 : 식품 중 오염도와 식품의 일일섭취량을 곱한 후 체중으로 나눈 값으로 식품 섭취로 인해 하루동안 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양

3) 위해도 : 해당 오염물질의 노출량을 평생 매일(주간, 월간) 먹어도 안전한 인체노출안전기준*과 비교한 값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위해도가 1(100%) 초과할 경우 유해영향의 발생이 예측된다고 판단

* 인체노출안전기준 : 비소 : 미설정 무기비소 : 9.0 /b.w./week 수은 : 3.7 /b.w./week(어류, 수서무척추동물 제외) 메틸수은 : 2.0 /b.w./week

 * 평가 품목수 및 섭취량 차이가 커서 ’16년 노출량 평가와 직접 비교가 어려움

 1) 오염도 : 식품 중 오염물질 함량
 2) 노출량 : 식품 중 오염도와 식품의 일일섭취량을 곱한 후 체중으로 나눈 값으로 식품 섭취로 인해 하루동안 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양
 3) 위해도 : 해당 오염물질의 노출량을 평생 매일(주간, 월간) 먹어도 안전한 인체노출안전기준*과 비교한 값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위해도가 1(100%)을 초과할 경우 유해영향의 발생이 예측된다고 판단
            * 인체노출안전기준 : ①비소 : 미설정 ②무기비소 : 9.0 ㎍/㎏ b.w./week ③수은 : 3.7 ㎍/㎏ b.w./week(어류, 수서무척추동물 제외) ④메틸수은 : 2.0 ㎍/㎏ b.w./week

붙임2

 

현행 식품 중 무기비소 기준


구분

대상식품

무기비소*(/)

농산물

(현미제외)

0.2 이하

가공식품

어유

0.1 이하

영아용 조제유, 성장기용 조제유,

영아용 조제식, 성장기용 조제식,
유아용 이유식,
유아용 특수조제식품

0.1 이하

(현미, 미강, 쌀눈, 톳 또는 모자반을 사용한
식품에 한함)

특수의료용도식품(유아용 특수조제식품제외), 과자, 시리얼류, 면류

0.1 이하

(현미, 미강, 쌀눈, 톳 또는 모자반을 사용한
식품에 한함)

, , 을 제외한 모든 식품

1 이하

(현미, 미강, 쌀눈, 톳 또는 모자반을 사용한

식품에 한함)

* 총비소 시험결과 무기비소 기준 초과 검출 시 무기비소로 시험하여 기준 적용

* 총비소 시험결과 무기비소 기준 초과 검출 시 무기비소로 시험하여 기준 적용


붙임3

 

식품 조리·섭취 가이드



















포토뉴스

1 / 9

기획이슈

더보기
포탄과 눈물이 멈춘 자리, 민초의 힘으로 평화를 되찾다… 매향리평화기념관, 21일 개관
54년의 상처를 딛고 피어난 평화…‘매향리평화기념관’ 21일 정식 개관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한때 하늘에서 포탄이 쏟아지던 사격장이 ‘평화’를 기원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화성특례시는 지난 54년간 폭격의 아픔을 간직한 매향리에 ‘매향리평화기념관'을 조성하고 오는 21일 정식 개관한다고 밝혔다. 개관식은 21일 오후 1시 30분, 매향리평화기념관 1층 다목적홀에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을 비롯해 도·시의원, 화성특례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은 미 공군사령부의 사격훈련장이었던 ‘쿠니사격장(Koon-Ni Range)’의 일부 시설을 보존하고 세계적인 건축가 마리오 보타(Mario Botta)의 손길을 더해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로 완성됐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은 ‘평화의 길, 희망의 바다’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전시 구성에도 이를 반영해 쿠니사격장 존치 건물은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평화의 길)으로 기념관은 치유와 존중을 통한 평화를 약속하는 공간(희망의 바다)으로 조성했다. 기념관 외부는 회랑과 추모의 위령비, 물이 흐르는 수(水) 공간 등을 마련해 매향리 주민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포토뉴스

1 / 9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