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재해·안전·예방

도, 11일 안양서 지진발생 가상한 대규모 재난대비 훈련 실시

○ 경기도, 11일 지진대비 ‘2018년 경기도 재난대비 훈련’ 실시
○ 지진발생에 따른 복합재난 대응-수습-복구까지 전 과정 실전 훈련
○ 각본 없는 실제와 같은 실효성 있는 훈련을 통해 지진 대응능력 향


경기도가 지진발생을 주제로 대규모 재난대비훈련을 실시한다. 사전에 짜여진 시나리오 없이 상황만 주어지는 첫 훈련이어서 훈련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도는 오는 11일 오후 안양 (구)농림축산검역본부 철거예정부지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안양시, 삼천리 도시가스 등 35개 기관 506명의 인원과 헬기 2대, 차량 78대가 참가한 가운데 2018 경기도 재난대비 훈련을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지진발생에 따른 복합재난 대응·수습·복구를 주제로 지진발생 전파와 초기대응, 긴급구조 활동과 응급의료체계 구축, 긴급대응기관 협의회 등 발생초기부터 복구까지 전 과정을 시나리오 없이 실시간 발생되는 재난상황에 따라 진행하게 된다. 
소방재난본부는 앞서 훈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진전문가의 자문과 경주, 포항 등 지진발생지역을 방문해 다양한 훈련 유형을 발굴했다. 이에 따라 이번 훈련에서는 지진조기경보기 등 초기 대피 시스템 가동, 민간중심 초기대응, 인명구조 중심 대응, 이재민 관리 등 수습 복구 활동 상황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이번 훈련은 기존 참관식 훈련을 탈피한 현장 중심의 참여식 실제훈련이 될 것”이라며 “도는 물론 관련 기관과의 협업과 효과적인 지휘체계 구축을 통해 지진으로 인한 복합재난 대응능력을 향상 시키겠다”라고 말했다.

2018년 道 재난대비훈련 기본계획

 지진원인의 복합재난에 대한 경보․대피 시스템 등 민간분야 대응 및
 긴급구조기관․재난관리 책임기관의 대응․수습․복구 훈련 계획임

Ⅰ 훈련개요
  ❍ (일 시) 2018. 10. 11(목) 13:00 ~ 16:00 (3시간)
  ❍ (장 소) 구. 농림축산검역본부 (철거예정부지) - 안양시 소재
  ❍ (유 형) 지진발생에 따른 복합재난 대응  수습  복구 훈련

Ⅱ 추진방향
   ❍ 지진 원인의 복합재난에 대비한 현장대응 중심의 참여식 실제훈련 기존의 시범식·참관식 훈련에서 탈피한 민·관·군 참여식 합동 훈련과 도민 평가단 구성, 재해약자 참여 등으로 자율적인 도민참여 위주의 재난대응 실제훈련 
 구현
  ❍ 효과적인 재난 대응을 위한 긴급구조기관 ⇔ 지원기관 협업체계 구축
  ❍ 통제단 중심의 인적․물적 자원 동원 등 효과적인 지휘체계 구축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