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예산 새는 곳 없는지 살펴본다 … 예산바로쓰기 도민감시단 모집

○ 8월 6일까지 우편, 이메일로 신청 가능
○ 시군별 인구비례에 따라 200명 이내로 감시단 구성 예정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낭비를 막고 이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게 될 자발적 도민 감시단이 출범한다. 
경기도는 효율적 예산 집행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예산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자율감시 체계 마련을 위해 ‘예산바로쓰기 도민감시단’을 운영하기로 하고 8월 6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 
예산바로쓰기 도민감시단은 ‘경기도 예산낭비에 대한 주민감시와 공개에 관한 조례’에 따른 것으로 도는 17일 관련 조례를 도보를 통해 공포했다. 
예산바로쓰기 도민감시단은 무보수 명예직으로 경기도의 예산낭비신고와 현장조사 공동참여 등의 활동을 하게 되며 위촉기간은 2년이다. 도는 시․군별 인구비례에 따라 200명 이내로 감시단을 구성하고, 재정과 예산 활동 감시 강화를 위해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와 주민참여예산위원을 대폭 참여시킬 계획이다.
도민감시단 참여를 희망하는 도민은 경기도 홈페이지에서 지원서를 다운로드한 후 작성해 마감일까지 우편 또는 이메일(ajong22@gg.go.kr)로 제출하면 된다.
감시단은 자체 심사위원회에서 선발하며, 결과는 8월 20일 경기도 홈페이지 게시 및 개별 통보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주민참여예산이 예산 편성 단계에서 도민의 감시를 받는 제도라면 도민감시단은 예산 집행 단계에서 한 번 더 도민의 감시를 받는 것”이라며 “두 제도를 통해 재정 건전성을 강화하고 절감된 재원을 일자리, 복지 등의 재원으로 활용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경기도 공고 2018-1983호
경기도 「예산바로쓰기 도민감시단」 모집 공고문

 경기도에서는 예산낭비 등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 제고와 자율감시 체계 구축을 위해 아래와 같이 「예산바로쓰기 도민감시단」을 모집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2018년 7월 17일
경기도지사

지원요건
 ○ 지방자치단체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예산운용에 기여를 위한 도민제안 등 참신한 아이디어가 많으며 열정이 있는 도민으로서, 
   - 인터넷 및 컴퓨터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문서작성이 가능한 도민
   - 감시단 역량강화를 위한 회의 및 예산낭비방지 도민감시단 교육, 워크숍  참석 등 활동에 지장이 없는 도민

지원기간 : 2018. 7. 17.∼ 8. 6.(21일간)
모집인원 : 200명 이내(시․군별 인구비례에 따라 선발인원 배분)
활동내용
 ○ 지방자치단체 예산낭비 신고, 예산낭비 관련 현장조사, 예산낭비 관련 제도개선, 감시단 예산교육 및 역량강화 워크숍 참석 등  
성격/활동기간 : 무보수․명예직/위촉일로부터 2년
  ※ 활동기간 중 활동실적이 저조하거나 의무교육을 이수하지 않으면 해촉 될 수 있음
제출서류 : 지원서 1부(경기도 홈페이지 게시)
제출방법 
   ‧ E-mail : ajong22@gg.go.kr
  ‧ 우   편 : (16444)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 예산담당관 안전도시농정예산팀
 ※ 접수는 마감일 18:00 도착 분까지 유효하며,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습니다.
선발기준 : 지역, 경력과 지원서 내용 등을 고려하여 선발
발 표 : 2018. 8. 20.(월) 이후 경기도 홈페이지 공고 및 개별 통보
 ※ 문의 : 경기도청 예산담당관 (☎ 031-8008-2836)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