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해양수산자원연구소 해면연구소, 수원 호매실 → 안산 선감도로 이전

- 해양수산자원연구소 1단계 공사 완료. 본격 해양자원 연구 기대 -

○ 경기도 총 238억원 투입, 안산 대부도에 해양·수산연구시설 건립 추진
  - 1단계 사업 2월말 준공. 우량 패류생산 육종 연구사업 가동
  - 2단계사업은 갑각류·해조류 및 수산생물 안전성검사 시설. 2019년 완료 목표. 
○ 3월 15일 준공식 개최 예정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1단계 공사가 오는 2월말 완료됨에 따라 수원 호매실에 위치한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해면연구소가 안산시 선감도로 이전한다.
경기도는 어업경쟁력 강화와 지역특성에 맞는 신 양식품종 연구개발 등을 위해 지난 2016년 8월부터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일원 7만2천20㎡에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를 조성 중이다. 총 238억원이 투입되는 경기도해양자원연구소 건립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추진되고 있다. 
2월말 1단계 준공을 맞은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에는 연구사무동, 패류연구동, 기계동 등 총 3개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친환경 양식어업육성을 위한 기술보급과 고소득 양식품종 개발을 위한 우량 패류생산 육종 연구, 갯벌 서식환경 조사 등이 진행된다. 1단계 시설에는 117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2단계 사업은 121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올해 9월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갑각류 연구동, 해조류연구동, 안전성검사동, 관리사동 등 4개 건물이 조성된다. 이곳에서는 수입종인 어미 흰다리 새우의 국산화, 슈퍼 김 등 신품종 해조류 양식기술 등의 연구·개발 사업이 중점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김동수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전국 8개 연안 시·도 중에 유일하게 경기도에만 바다 연구시설이 없어 해양 환경변화와 어족자원 감소 등에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다”면서 “연구소 건립으로 도내 갯벌 166㎢와 양식장 230여 개소(7천000㏊)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질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3월 15일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1단계 시설에 대한 준공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참고 1 시설개요
□ 사업 개요
 ○ 목  적 : 해양수산 환경 및 양식 시험연구 등 경기연안의 종합적 이용·관리
 ○ 방  식 : 예산 및 사업시급성 등 감안 1, 2단계 사업으로 구분 시행
 ○ 위  치 : 안산시 선감동(대부도) 산55번지 일원 (72,020㎡)
 ○ 사업비 : 238억원 (국비 81 / 도비 157)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