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14.2℃
  • 맑음서울 7.7℃
  • 맑음대전 7.1℃
  • 맑음대구 9.9℃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7.9℃
  • 맑음부산 11.8℃
  • 맑음고창 4.5℃
  • 맑음제주 11.3℃
  • 맑음강화 7.6℃
  • 맑음보은 2.9℃
  • 맑음금산 3.8℃
  • 맑음강진군 6.0℃
  • 맑음경주시 11.2℃
  • 맑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영산강 녹조제거선 떴다

전남도, 15일 시험운항…여름철 신속 대응으로 대량 번식 차단


전라남도는 여름철 불청객인 녹조의 신속한 대응과 사전 차단을 위해 녹조제거선을 건조해 15일 시험운항 및 시연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운항에 들어갔다.

그동안 여름철이면 영산강 본류와 지천에서 연례적으로 발생하는 녹조 제거에 어려움을 겪어온 전라남도는 녹조제거선을 운영함으로써 녹조대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운영 중인 환경정화선(57t급)은 지난 1994년도에 건조돼 노후로 운항 시 안전사고 우려가 있는데다 쓰레기 수거 및 수질조사 등 복합적 기능 수행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신규 선박 건조의 필요성이 절실했다.

이에따라 전라남도는 2011년부터 노후 영산강 환경정화선 신규 건조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중앙부처에 지속적으로 건의한 결과, 2016년 정부 추경에 선박 건조에 필요한 국비 30억 원을 포함한 사업비 60억 원을 확보했다. 환경정화선 80t급 1척과 부대시설로 바지선 80t급 1척, 녹조제거선 1척, 접안시설 등을 건조해 기존 정화선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고 기능이 확대됐다. 영산강의 부유 및 퇴적 쓰레기 수거에 효율적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이번에 건조 운항하는 녹조제거선(가칭 영산강 2호)은 1.7t급(L=8.0m, B=3.7m) 규모다. 녹조 발생 시 천연 조류제거용 응집제를 살포, 응집된 녹조생물을 컨베이어벨트로 수거해 탈수시킨 후 남은 찌꺼기는 별도 처리하게 된다.

전라남도는 녹조 예방을 위해 유관기관 및 시군과 합동으로 취약 지역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녹조의 원인이 되는 가축 분뇨 등 오염물질 배출업소 중점 점검 및 댐‧보‧저수지 연계 운영을 통한 다각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기환 전라남도 환경국장은 “녹조는 일조량, 수온 증가 및 상류 농업용 댐 방류량 감소에 따른 물 흐름 정체 등의 조건이 되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며 “철저한 대비와 대응으로 녹조로 인한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나비, 황금박쥐를 만나다’ 제27회 함평나비대축제 개장
전남 함평군이 제27회 함평나비대축제가 성대한 막을 올리며 5월 6일까지 12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함평군은 25일 “제27회 함평나비대축제가 축제 첫날인 이날 오전 엑스포공원 나비곤충생태관에서 개장 기념 나비날리기 행사로 축제의 서막을 알렸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명예문화축제로 지정된 ‘제27회 나비대축제는 ‘나비, 황금박쥐를 만나다’를 주제로 이날부터 5월 6일까지 함평엑스포공원 일원에서 개최된다. 나비대축제에서는 호랑나비, 배추흰나비 등 17종 약 20만 마리의 살아 있는 나비와 메리골드 등 30종 50만 본의 봄꽃이 어우러진 장관을 선보이며 관광객을 맞이한다. 자연 속에서 생명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최근 금값 상승으로 주목을 받는 함평의 대표 관광 콘텐츠인 ‘황금박쥐’ 캐릭터 ‘황박이’가 함께 관광객을 맞이하며 축제에 활기를 더하고 있다. 황금박쥐상은 함평엑스포공원 추억공작소에 있는 황금박쥐전시관에서 볼 수 있다. 이날 오후 7시에는 나비대축제 개막식이 열려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가운데 축제의 찬란한 시작을 선포한다. 개막 축하 공연에는 가수 조성모와 소찬휘가 화려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넘어짐 사고’ 5년간 600건 육박…서울교통공사 예방 총력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지하철 역 구내에서 발생한 ‘넘어짐 사고’가 총 597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역내 사고 2,387건 중 25%를 차지하는 수치로, 연 평균 119건, 월 평균 10건 꼴로 발생한 셈이다.특히, 전체 사고 가운데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에서 발생한 사고는 275건으로, 전체 ‘넘어짐 사고’의 46%를 차지했다. 환승을 위해 서두르다 계단에서 발을 헛디디거나, 에스컬레이터 이용 중 중심을 잃는 사례가 주요 원인이다. 이 중 다수는 출퇴근 시간대, 열차 도착 정보를 보고 급히 움직이던 승객들이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경우로 파악되고 있다.서울교통공사는 이 같은 사고를 줄이기 위해 사고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위험 지역을 선별,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 안전 강화를 위한 홍보 캠페인을 주기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시간대에는 안내방송을 집중 송출해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더불어, 행선안내게시기에는 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영상을 상영하여 시민들에게 안전 수칙을 자연스럽게 인지시킬 예정이다.이와 함께 공사는 주요 혼잡역에 '시니어 승강기 안전단' 582명(49개 역)과 '지하철 안전도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