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행자부 “10월 주민등록 인구수 5168만명…최다 출생지는 경기 수원”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시스템으로 집계한 2008년부터 2016년 10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출생신고가 가장 많은 지역은 10만여 명을 기록한 경기 수원, 사망신고가 가장 많은 지역은 4만여 명을 기록한 경남 창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올해 10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는 51,677,054명으로 2015년말에 비해 147,716명(0.29%) 늘어났고, 지난 9월에 비해 12,810명(0.02%)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남자는 25,820,488명이고 여자는 25,856,566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36,078명이 더 많다.


지난달과 비교할 때 경기(17,452명), 세종(2,399명), 충남(1,795명), 인천(1,357명) 등 9개 시도의 인구는 늘어난 반면,


서울(△9,500명), 부산(△2,032명), 전북(△686명), 경북(△488명), 광주(△468명) 등 8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참고로 금년 1월부터 10월까지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시도는 경기(월평균 16,362명), 세종(2,568명), 인천(1,622명), 제주(1,539명), 충남(1,450명) 등 5개 지역이며,


같은 기간 서울(월평균 △7,083명), 부산(△1,064명), 전남(△542명) 3개 지역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기초단체 중 성남시는 등록외국인*(17,686명)을 포함하면 10월말 994,942명으로 총인구수가 100만에 육박하였다. *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통계월보(9월) 참고


’16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전국의 출생신고는 349,558명, 사망신고는 231,203명으로 자연적 인구 변동은 118,355명 증가하였다.


※ 주민등록 인구변동 요인 : 출생·사망(자연적인구 증감), 신규등록(국적취득), 재등록, 말소, 국적상실 등의 사유가 존재하여 우리나라 총인구수에 변동 발생


서울 인구*는 ’08년부터 10년까지 증가하다 11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총인구수는 237,919명 감소하였으나, 출생자수와 사망자수의 차인 자연적 인구변동은 427,581명** 증가하였다.


* 10,192,710명(’07년말) → 10,312,545명(’10년) → 10,103,233명(’14년) → 9,954,791명(’16.10)


** 자연적순증 누적값 : 57,721명(’08년) → 164,064명(’10년) → 357,309명(’14년) → 427,581명(’16.10)


경기 인구*는 같은 기간 꾸준히 증가하여 총인구수는 1,577,519명 증가 하였고, 자연적 인구변동도 602,972명** 증가하였는데, 이는 자연적 인구증가 보다 타지역에서 전입에 따른 인구 증가로 볼 수 있다.


* 11,106,211명(’07년말) → 11,786,622명(’10년) → 12,357,830명(’14년) → 12,683,730명(’16.10)


** 자연적순증 누적값 : 76,140명(’08년) → 219,129명(’10년) → 495,190명(’14년) → 602,972명(’16.10)


’08년부터 ’16년 10월말까지 시·군·구의 출생신고는 경기 수원(102,240명), 경남 창원(92,270명), 경기 용인(83,641명), 성남(81,618명) 등 5만명 이상 증가한 13개 지역을 포함하여 226개 전체 지역에서 증가하였다.


한 달 평균 출생신고 20건 미만*인 시·군·구 지역은 28개로 경북 7개(울릉, 영양, 군위, 청송, 청도, 영덕, 봉화), 강원 4개(양양, 고성, 영월, 양구), 경남 4개(의령, 남해, 산청, 함양), 전북 4개(장수, 무주, 순창, 임실), 전남 4개(구례, 곡성, 진도, 장흥), 충북 3개(괴산, 단양, 보은), 인천(옹진)·충남(청양)이다.


* 한 달 20건 * (12개월 * 8년 + 10) = 2,120건 미만인 지역


같은 기간 사망신고는 경남 창원(43,380명), 경기 수원(36,320명), 경기 고양(34,812명), 충북 청주(33,919명), 경기 성남(33,298명) 순으로 14개 지역에서 ’15년말 읍 지역의 평균인구(21,255명) 보다 많았다.


한 달 평균 10건 미만 사망신고를 한 지역은 경북 울릉이 유일했고, 20건 미만 신고 지역은 충남 계룡, 인천 옹진, 강원 양구, 강원 화천, 충북 증평 5개 지역이었다.


같은 기간에 시·군·구별 자연적 인구 변동은 경기 수원(65,920명), 경기 용인(56,007명), 경남 창원(48,890명), 경기 성남(48,320명), 경기 화성(47,479명) 등 지역에서 15년말 동(洞)지역의 평균인구(20,081명) 보다 많은 38개를 포함하여 137개 지역(전체 시군구 226개의 60.6%)이 증가한 반면,


전남 고흥(△6,219명), 경북 의성(△4,898명), 경북 상주(△4,480명), 경남 남해(△4,238명), 충남 부여(△4,125명) 등 89개(39.4%) 지역은 감소하였다.


한편 ’16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읍·면·동 지역의 출생신고 수는 부산 기장 정관읍(1,188명), 경기 광주 오포읍(1,066명), 충북 청주 오창읍(962명), 순으로 3,480개(전체 읍면동 3,496개의 99.5%) 증가하였으나,


16개(0.5%) 읍·면·동은 ’16년에 출생신고 수가 한 건도 없었다.


※ 강원 4개(강릉 왕산면, 삼척 노곡면·신기면, 철원 근북면), 경기 2개(파주 군내면·진동면), 충북 2개(단양 단성면·적성면), 전남 2개(장흥 유치면, 화순 청풍면), 경북 2개(영주 평은면, 포항 기북면), 경남 2개(거제 남부면, 함안 여항면), 충남(청양 비봉면), 전북(남원 덕과면)이 각각 1개 지역이다.


같은 기간에 읍·면·동 지역의 사망신고 수는 경기 남양주 화도읍(404명), 부산 기장군 기장읍(332명), 경기 남양주 진접읍(308명), 경남 창원 내서읍(265명), 대구 동구 안심1동(261명) 순이다.

31개 지역의 읍·면·동은 ’16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사망신고 수가 10건 미만 이였는데, 경기 7개, 강원 6개, 경북·전남 3개, 서울·경남·인천·전북·충북 2개, 부산·충남 1개 지역이다.


같은 기간에 읍·면·동 지역의 자연적 인구 변동은 부산 기장 정관읍(1,012명), 경기 화성 동탄4동(861명), 세종 아름동(832명), 경기 광주 오포읍(806명) 등 1,686개 지역(전체 읍면동 3,496개의 48.2%)이 증가한 반면,


경북 경주 안강읍(-123명), 부산 해운대 반송제1동(-105명), 전남 보성 벌교읍(-102명), 충남 홍성 광천읍(-99명), 전남 고흥 도양읍(-96명) 등 1,792개(51.3%) 지역은 감소하였다.


서울 강북 수유제2동, 강서 방화제2동, 송파 가락1동 등 18개(0.51%) 지역은 인구변동이 없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