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교육문화예술

정선군, ‘2024 아리랑 세계를 잇다’ 공연 개최


 대한민국 3대 아리랑 공동협의체(정선군, 진도군, 밀양시)의 주최로 1115일 금요일 오후 7, 정선아리랑센터 아리랑홀에서 <아리랑 세계를 잇다> 공연을 올릴 예정이다.

 

<아리랑 세계를 잇다> 공연은 올해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2주년을 맞이하여 아리랑의 전승 발전과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는 대표 아리랑 3대 고장인 정선군, 진도군, 밀양시가 대한민국 3대 아리랑 공동협의체로 함께 모여 지속적으로 교류하는 자리로서 해마다 뜻을 모아 공연을 올리고 있다.

 

이번 <아리랑 세계를 잇다> 공연은 좀 더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리랑 디아스포라의 의미까지 더해 국내외 활동하는 뮤지션들의 아리랑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국내외 뮤지션의 감성으로 새롭게 해석된 아리랑은 우리에게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벌써부터 기대감을 준다.

 

<아리랑 세계를 잇다>에서는 국악, 클래식, , 일렉트로니카, 민속음악 등의 다양한 장르와 형식으로 표현된 여섯 가지 색깔의 아리랑을 만나게 된다.

세계 보편의 음악적 정서와 상통하고, 국악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크게 기여해온 세계인이 사랑하는 <김덕수>판굿 아리랑판타지’, 영화 은행나무침대”, “쉬리” “태극기 휘날리며”, “마이웨이”, “7번방의 선물을 작곡하고, 2019년 헐리우드에서 Golden Screen Awards 음악상을 수상한 한국영화음악의 거장 <이동준>의 혼신의 음악적 표현과 감정이 돋보이는 ‘Beyond The Wall : 아리랑’, 지구 반대편 멕시코에서 활동하는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인 <신현준>의 또 다른 느낌의 정선아리랑등을 들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국악을 사랑하고 국악의 현대화·대중화를 위해 노력하는 재일교포 아티스트 <민영치>의 과거와 현재의 정선을 새롭게 해석한 천자고무(天子鼓舞) 정선’, 다양한 음악 분야를 아우르고 국악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하여 대중적으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동양고주파>만화경 : 밀양아리랑’, 전라도 지역의 무속음악과 노동요를 기반으로 한국 전통음악 및 연희를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새롭게 표현하여 국내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우리소리바라지>진도아리랑무대까지 보다 새롭고 풍성하게 준비된 아리랑으로 늦은 가을밤을 물들일 예정이다.

 

이번 정선아리랑센터 아리랑홀에서 올려지는 <아리랑 세계를 잇다> 공연을 통해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음악인들 각자의 아리랑으로 우리에게, 혹은 세계인에게 새로운 공감과 감동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리랑의 전승 발전과 세계화를 위해 최승준 정선군수, 김희수 진도군수, 안병구 밀양시장 등 3개 지자체가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류와 화합을 거듭 약속 했으며, 나아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아리랑의 가치 재조명에도 힘을 실어주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아리랑 세계를 잇다> 공연은 KBS “국악한마당 특집 아리랑으로 20251월 중 1210분에 KBS 1TV 전국방송으로 방영 될 예정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인천시 맞춤형 특화사업, 성과 가시화
인천광역시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 중인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사업이 올해 하반기 준공과 운영을 앞두고 본격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강화군·옹진군·동구 등 인구감소가 심각한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한 문화, 관광, 농업,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머무르고 싶은 인천’, ‘돌아오고 싶은 인천’을 만들어가고 있다.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과 빠른 고령화로 인해 대한민국 일부 지역은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청년층의 수도권 중심지 집중과 농어촌 인구 고령화는 지역의 산업 기반을 약화시키고, 의료·교육·일자리 등 정주 여건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인천 역시 도서 지역과 원도심을 중심으로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옹진군은 고령화율이 전국 최고 수준이며, 강화군은 청년층의 외부 유출이 심각하다. 동구 역시 노후한 주거환경과 산업구조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2년부터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도입해 인구감소지역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인천시는 해당 기금(광역기금 약 46억 원, 총사업비 272억 원, 10개 사업)을 바탕으로 ▲청년 인구 유입 ▲정주여건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다양한 특화사업을 발굴하고 차질 없이 추진해 왔다. 첫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