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건강보험의학

충북지역 노동자 건강관리 체계적 지원

안전보건공단, 30일 충북근로자건강센터 개소, 전문 직업건강서비스 제공


□ 충북지역 소규모사업장 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나 작업과 관련된 질환 등 직업건강서비스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와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은 충북지역의 50인 미만 사업장 및 취약계층 노동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30일 충북 청주시에 충북근로자건강센터(이하‘충북센터’)를 설치·운영한다.
  
◈ 충북근로자건강센터 개소식
  - 일시: 2020. 7. 30.(목) 14:00~ 
  - 장소: 충북 청주시 오창읍 양청송대길 10 청주미래누리터 5층

 ㅇ 충북지역의 경우 최근 업무상 질병이 급증하고 있으나, 시간적․비용적인 면에서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받기 어려웠다.
    ※ 충북지역(청주시, 진천군, 증평군, 옥천군 등) 업무상질병 만인율:     (`18) 4.36 → (`19) 5.88 (34.9% 증가)
 ㅇ 이에 따라, 공단은 건강관리 여력이 부족한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및 현행 안전보건시스템으로 보호받기 어려운 사각지대 노동자의 보건관리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번에 충북지역에 근로자건강센터를 개소했다. 

 ㅇ 충북근로자건강센터는 (사)대한산업보건협회가 운영하며, 전문의 및 간호사, 운동처방사, 산업위생기사, 심리상담사 등이 상주해 종합 직업건강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 이용시간은 평일(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탄력적으로 운영된다.
  -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직종별 유해요인 파악을 통해 전문의(직업환경의학)상담, △작업관련성질환(뇌심, 근골) 예방상담, △작업환경컨설팅, △직무스트레스 예방상담, △안전보건 전문교육 등이 있다. 
  - 특히, 충북센터는 전국 근로자건강센터 중 최대 면적인 1천㎡로, 충북지역 노동자가 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업장에서 단체 예약 시 건강센터 담당자가 직접 사업장에 찾아가 집단 상담을 제공한다.
    ※ 문의처: 1577-6497 (근로자건강센터 대표번호)
 ㅇ 이번 충북지역 개소에 따라 근로자 건강센터는 전국에 모두 23개소가 운영된다.
    ※ 전국 근로자건강센터(분소) 현황: 붙임1 참고
□ 안전보건공단 박두용 이사장은 “충북지역 소규모사업장 노동자에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건강상담서비스 제공됨으로써 업무상질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전문 건강 상담이 필요한 사업장 및 노동자의 적극적인 이용”을 당부하였다.  (끝)

< 사진자료 >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왼쪽에서 3번째) 및 관계자 등이

                       30, 충북 청주시 충북근로자건강센터 개소식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왼쪽에서 4번째) 및 관계자 등이

                       30, 충북 청주시 충북근로자건강센터 개소식에서 제막식을 하고 있다.


붙임 1

 

전국 근로자건강센터(분소) 현황(7.30.기준)

   

                                                                             근로자건강센터

연번

센터명

소재지

대표번호

1

경기서부

경기도 시흥시 공단1대로 247 (KT시화지점 3)

1577-6497

2

인 천

인천시 남동구 남동대로 215번길 30 (인천종합비지니스센터 4)

3

광 주

광주시 광산구 하남산단 3번로 133-8 (하남근로자종합복지관 2)

4

대 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217 (대구비지니스센터 7)

5

경 남

경남 창원시 성산구 완암로 50 (창원SK테크노파크 211)

6

서 울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131 (BYC하이시티 2)

7

경기동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457번길 8(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12)

8

울 산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덕남로 90

9

부 천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삼작로 22 (부천테크노파크 1단지 관리동 3)

10

충 남

충남 천안시 서북구 백석335 (YG빌딩 2)

11

경기남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덕영대로 1556번길 16 (디지털엠파이어빌딩 C2)

12

대 전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365 (한신에스메카 1)

13

부 산

부산광역시 사상구 대동로 303 (벽산디지털밸리 1)

14

경북북부

경북 구미시 해마루공원로 24 (구미근로자문화센터 1)

15

전남동부

전남 여수시 무선중앙로 23 (YM빌딩 3)

16

서울서부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583 (우림블루나인 A-1406)

17

경 산

경북 경산시 진량읍 공단7126 (경산시 근로복지회관 2)

18

강 원

강원도 원주시 호저로 47 (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604)

19

전 주

전북 전주시 덕진구 유상로 47 (KT팔복지사 2)

20

제 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165 (제주고용복지플러스센터 3)

21

경기북부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검준길 82 (검준공단지원센터 4)

22

충 북

충북 청주시 오창읍 양청송대길 10 (청주미래누리터 5)

23

전남서부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나불로 163(대불국가산업단지 내)


분소

연번

센터명

소재지

직통번호

1

성남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30 (삼한하이펙스 A127)

031-698-2990

2

김포양촌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로 117 (메카존 나동 243)

031-999-7602

3

대구달서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280 지하 (이곡동, 성서산업단지역)

053-585-8088

4

완주

전북 완주군 봉동읍 과학로 850-15 (전라북도 근로자종합복지관 1)

063-262-7733

5

창원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 18번길 46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 122)

070-4270-0240

6

평택

경기도 평택시 모곡동 산단로 58 (청은상가 1)

031-663-8953

7

남양주

경기도 남양주시 진관로 355번길 4

031-572-9032

8

군포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 148번길 17 (군포아이티밸리 A1202)

031-8086-7195

9

구미

경북 구미시 구미대로 350-27 (비지니스지원센터 213)

054-465-2511

10

영천

경북 영천시 금완로 63 (영천상공회의소 1)

054-338-8541

11

광주광산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로 184-1 (평동종합비즈니스센터 1103/104)

062-608-0377

12

대구달성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논공중앙로341 (달성고용복지플러스센터)

053-615-6497

13

양산분소

경상남도 양산시 대평들32 (주남동, 1)

055-385-7301

14

김포고촌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아라육로58번길 105-1 (유호빌딩 2204)

031-998-9165

15

서울중구

서울 중구 퇴계로 197 (충무빌딩 302)

02-2268-6497

16

서울성동

서울시 성동구 상원126 (서울숲A타워 308)

02-6077-7500

17

울산북구

울산광역시 북구 산성로 40 (울산지식산업센터 208B )

052-288-7772

18

인천부평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283 (부평우림라이온스밸리 지하1116)

032-528-1155

19

춘천

강원도 춘천시 퇴계공단길 24 퇴계농공단지

033-262-2788

20

연동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수목원길 9 (제주 근로자종합복지관 1)

064-745-8961

21

아산

충남 아산시 둔포면 아산밸리중앙로 82 (G-플레이스 405)

041-531-8885



붙임 2

 

근로자건강센터 OPS


붙임 3

 

코로나19 예방수칙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연천군, 접경지역 AI 기반 그린바이오 미래 성장 전략 모색
경기도 연천군(군수 김덕현)은 지난 6월 27일 국립 통일교육원에서 개최된 『2025 지리학대회 접경지역 AI 특별 세션』에 참석하여 AI 기술을 활용한 접경지역 전략산업 및 지정학적 재편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특별 세션은 대한지리학회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AI·GIS·그린바이오·안보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접경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기조 발제를 통해, “연천군은 수도권에 위치하면서도 DMZ 천연자원을 비롯해 임진강·한탄강 등 풍부한 수자원과 드넓은 가용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AI 기반 정밀농업 실행과 그린바이오 산업육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천군은 현재 ▲자율주행 트랙터 및 농업용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실증사업, ▲국내 최초 위성 기반 정밀농업 시범사업, ▲연천 BIX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AI 기반 미래 전략산업(그린바이오)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연천군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및 DMZ 접경지역의 지리·생태적 강점을 바탕으로 AI 정밀농업 운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남북 농업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