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6.9℃
기상청 제공

‘남해장성’‘남해 금산목장성’으로 명칭 변경

2023년 정밀지표조사 용역 및 최근 전문가 연구 결과,



지난 1996년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된 ‘남해장성(南海長城)’의 명칭이 ‘남해 금산목장성(南海 錦山牧場城)’으로 변경된다.
남해장성은 1996년 경상남도 기념물 지정 당시 군사적 목적으로 축조된 여말선초의 성곽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 전문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학계에서도 관방성 보다 말을 사육하던 목장성이라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이에 남해군은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남해장성의 잔존현황 및 규모를 조사해 역사·문화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한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남해장성이 잔존해 있는 이동면 ‘신전리~삼동면 봉화리~삼동면 대지포’ 구간에서 이루어졌다. 남해장성의 총 길이는 15km 정도이며 개발로 훼손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5.6km 정도는 보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해장성에 대한 문헌기록은 조선전기『단종실록』의 기록부터 조선후기『증보문헌비고』의 기록까지 총 7건 정도 확인된다. 이 중 남해장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는 『목장지도』는 숙종4년(1678)에 편찬된 목장 관리 용도의 지도로써 ‘금산장’의 평면 선형이 ‘ㄴ’자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이번 정밀지표조사 시 목장성 축조수법(외벽부 단시설, 체성 기울기, 체성 너비, 지형, 막 쌓기 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참고할 때 남해장성은 15세기 중반에 축조된 말(馬)을 사육하던 ‘목장성’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남해군은 유적의 성격을 반영한 ‘남해 금산목장성’으로 경상남도에 명칭 변경을 신청했다. 그 결과 ‘남해장성’의 명칭이 지난 8월 23일 경상남도 기념물분과위원회 심의를 거쳐 9월 12일에 ‘남해 금산목장성’으로 명칭 변경 고시되었다.
정중구 관광경제국장은 “남해장성 정밀지표조사 용역을 통해 문화유산의 성격을 규명한 성과로 이번 명칭 변경이 이루어짐에 따라 남해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지니는 의미를 정확하게 홍보하고 보존·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1 / 9

기획이슈

더보기
포탄과 눈물이 멈춘 자리, 민초의 힘으로 평화를 되찾다… 매향리평화기념관, 21일 개관
54년의 상처를 딛고 피어난 평화…‘매향리평화기념관’ 21일 정식 개관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한때 하늘에서 포탄이 쏟아지던 사격장이 ‘평화’를 기원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화성특례시는 지난 54년간 폭격의 아픔을 간직한 매향리에 ‘매향리평화기념관'을 조성하고 오는 21일 정식 개관한다고 밝혔다. 개관식은 21일 오후 1시 30분, 매향리평화기념관 1층 다목적홀에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을 비롯해 도·시의원, 화성특례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은 미 공군사령부의 사격훈련장이었던 ‘쿠니사격장(Koon-Ni Range)’의 일부 시설을 보존하고 세계적인 건축가 마리오 보타(Mario Botta)의 손길을 더해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로 완성됐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은 ‘평화의 길, 희망의 바다’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전시 구성에도 이를 반영해 쿠니사격장 존치 건물은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평화의 길)으로 기념관은 치유와 존중을 통한 평화를 약속하는 공간(희망의 바다)으로 조성했다. 기념관 외부는 회랑과 추모의 위령비, 물이 흐르는 수(水) 공간 등을 마련해 매향리 주민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포토뉴스

1 / 9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함평군 대한민국 국화동호회, 명품 국화 전시 위한 배움의 발걸음 나서
전남 함평군의 대한민국 국화동호회원들이 국화 전시 기법을 배우며 연출 역량 강화에 나섰다. 함평군은 13일 “대한민국 국화동호회원 34명이 지난 12일 충북 청주시 청남대를 방문해 조경 연출 및 전시기법을 배웠다”고 밝혔다. 이날 국화동호회는 청남대에 전시된 124종의 조경수와 143종의 야생화를 활용한 다양한 조경 연출을 관람하며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진 전시연출 기법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아울러, 전시 환경과 어울리는 식재 기법과 장식 활용법 등 실제 전시에 적용할 수 있는 연출 방식을 공유하며 깊이 있는 의견을 나눴다. 특히, 국화동호회는 이번 견학에서 새롭게 배운 전시기법과 창의적인 조경 연출 방법을 바탕으로 함평군 대표 가을 축제인 ‘대한민국 국향대전’에서 수준 높은 국화 분재를 선보일 예정이다. 김행민 대한민국 국화동호회장은 “다양한 조경 연출 기법과 실용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 국화동호회가 국화 분재 기술에 앞장서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문정모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항상 아름다운 국화 분재로 함평군의 위상을 높여 주시는 국화동호회 여러분들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