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SR·코레일·한국공항공사, 간부에 ‘공짜’ 숙소 제공

-코레일, 서울·대전 등 전국서 150채…전세 임차료만 200억원
-“공공기관 방만 경영의 전형적 사례이자 도덕적 해이”

 
SR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공항공사 등 공공기관들이 회사비용으로 임차한 숙소를 직원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여파로 대규모 적자를 냈음에도 방만 경영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두관 의원(더불어민주당/경남 양산을)이 SR로부터 제출받은 ‘원거리 출·퇴근자용 숙소 임차 현황’ 자료에 의하면, SR은 총 52명의 직원들에게 무상으로 숙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중 55%가 넘는 29명이 3급 이상의 간부다. 특히, SR이 제공 중인 38개 숙소 중 22개는 강남·송파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도공사의 경우, 총 150명의 직원들이 무료 숙소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혜자는 모두 2급 이상의 간부들이다. 원거리 출·퇴근자를 위한 복지라는 것이 한국철도공사 측의 입장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한국철도공사가 김두관 의원실에 제출한 ‘원거리 출·퇴근자 임차 숙소’ 자료에 의하면, 경기도 수원에 거주하는 센터장(1급)이 서울시 중구의 아파트(전세가 5억7000만 원)를, 고양시 일산에 거주하는 단장(1급)이 서울시 용산구의 오피스텔(전세가 3억2860만 원)을 제공받기도 했다.

지난달 25일 기준 회사가 부담하는 전체 전세 임차 가격은 201억 원이었으며, 거주자는 전원 3급 이상 간부이다. 이들은 관리비, 공과금만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항공사 역시 직원 678명이 무료로 숙소를 제공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숙소 제공으로 투입된 공항공사의 예산은 총 828억 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여파로 대규모의 적자를 낸 상황에서 지나친 방만 경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SR과 한국철도공사의 적자규모는 지난해 각각 246억원, 8,881억원에 달했다. 한국공항공사에서도 2,74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김 의원은 "서울 강남과 송파 등 상대적으로 비싼 전세금이 필요한 상급지에 직원용 사택을 제공하는 것은 공공기관 방만 경영의 전형적 사례이자 도덕적 해이"라며 "상위직급 직원들에게 사택을 제공하는 부분도 공공기관 혁신 측면에서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끝>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