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교육문화예술

서구문화재단, 10월 찾아가는 문화보부상 ‘2018 노을마당’ 이어간



인천서구문화재단(이사장 이재현)은 지난 9월에 이어 10월에도 찾아가는 문화보부상 ‘2018 노을마당’을 이어간다.
  ‘2018 노을마당’은 지난 8월부터 아라빛섬 정서진 광장, 청라호수공원 야외음악당, 검단복지회관 대강당, 검단먹거리타운, 가좌동 코스모40 등 서구 곳곳으로 찾아가는 공연을 통해 국악, 타악, 클래식, 퓨전음악, 악극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서구민에게 전달했다. 10월에도 다채로운 음악공연으로 도심속 공연축제를 화려하게 펼친다. 
  10월 5일 오후 4시 청라호수공원 멀티프라자에서 열리는 2018 청라와인페스티벌에 노을마당이 찾아간다. 와인을 소재로 한 도니제티의 오페라 부파 ‘사랑의 묘약’을 마임과 함께 선보인다. 멋진 피아노 4중주와 성악가들의 리얼한 연주에 마임이스트의 멋진 모션으로 재미와 감동이 함께한다.
  10월 13일 정오 12시 시천가람터에서 열리는 2018 카약축제에도 노을마당이 찾아간다. 더원아트코리아의 창작물인 덩덕쿵 FANTASY를 펼친다. ‘함께가다’라는 타이틀처럼 모두가 하나되는 화합의 무대를 펼친다.
  10월 18일 오전 10시 가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전통타악연구소가 ‘퓨전콘서트 공감21’을 재학생 1천여명에게 선보인다. 우리나라의 대고, 모듬북, 개량장구, 꽹과리 등 전통타악기와 잉카문명에서 발생된 남미의 안데스 민속음악의 대표하는 뽀니아, 께나, 차랑고가 만났다. 다른 두 음악의 동적인 느낌과 정적인 감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10월 19일 오후 7시에는 청라호수공원 야외음악당에서 사랑의하모니예술단이‘사랑,나눔,행복 콘서트’를 선사한다. 가요, 마임, 댄스, 성악, 코메디쇼, 팝핀댄스 등 다원예술을 한자리에 모았다. 공연 타이틀처럼 힐링하는 시간이다.
  10월 27일 오후 5시에도 같은 청라호수공원 야외음악당에서 ‘유리상자 이세준의 Fall in love’가 열린다. 유리상자의 감성보컬 이세준이 로맨틱한 발라드부터 7080의 추억을 되새기는 불후의 명곡을 들려준다. 감미로운 사운드에 재치있는 입담이 더해진 토크콘서트로 노을마당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한다. 공연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사업담당자(070-4237-702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8 노을마당’은 10월을 마지막으로 12개의 찾아가는 공연을 마치고 내년에 다시 서구 곳곳으로 찾아갈 예정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