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도 일자리재단 꿈마루(용인), ‘잇다 네트워킹 플리마켓’ 셀러 모집

○ 7일 경기남부 여성창업플랫폼 꿈마루(용인)에서 ‘잇다 네트워킹 플리마켓’ 개최 
  - 꿈마루내 창업기업과 회원사라면 누구나 플리마켓 셀러 참여가능 
  - 1일까지 온라인(http://naver.me/5QRyKril)을 통해 신청
○ 스카프빕 만들기 제작 체험, 선물증정, 다과 제공 등 다양한 현장이벤트와 부대행사 진행 
○ 여성창업준비자를 위한 창업특강, 토크콘서트도 함께 운영
 
경기도일자리재단 창업플랫폼 꿈마루에서는 12월 1일까지 창업기업과 도민들 간의 교류를 위한 ‘잇다 네트워킹 플리마켓’의 셀러를 모집한다.
이번 행사는 12월 7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경기도일자리재단 여성능력개발본부 창업플랫폼 꿈마루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참여 셀러는 총 20개팀이 선발될 예정이며 꿈마루 내 창업기업과 회원사라면 누구나 온라인(http://naver.me/5QRyKril)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이번 플리마켓에서는 경기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돕기 위한 행운권 추첨, 부대공연 등 다양한 현장 이벤트와 창업의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창업특강, 토크콘서트도 함께 진행된다. 
창업특강에는 2015년 디자인씽킹 수료생인 이경주 요요인터렉티브 대표가 강연자로 나서 ‘창업자를 위한 디자인 씽킹 개념이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토크콘서트에서는 특강 강연자인 이경주 대표와 그녀의 멘토였던 메이크위드 형용준 대표(전, 싸이월드 창업자)가 함께 꿈마루를 통한 창업스토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한편, 2014년 6월 개소한 경기남부 여성창업플랫폼 꿈마루는 여성 창업(준비)가들에게 공동사무공간과 창업전문가 컨설팅 등의 창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전용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다. 꿈마루 가입 회원은 4,006명으로 올해 신규 가입한 회원은 1,100여명이다.
**코워킹 스페이스 : 일종의 공동사무실(공유사무실)로, 각자 다양한 분야의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지만 하나의 공간을 함께 사용하면서 서로의 의견을 나누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조성된 공간을 지칭함
[참고자료]
경기도일자리재단 창업플랫폼 꿈마루
 “잇다” 네트워킹 플리마켓 

1. 행사 일정 및 장소
가. 날짜:  2017년 12월 7일(목) 10:30~17:00 
다. 장소:  경기남부 여성창업플랫폼 꿈마루(용인시 기흥구 용구대로 2311)

2. 참가자
가. 창업플랫폼 꿈마루 회원 선후배 및 창업자/멘토 등
나. 창업관심자/지역주민 등 관심자 누구나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