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도, 대만게임쇼 2018 참가 … 중화권 게임시장 공략 본격화

○ 도내 게임기업 7개사와 경기도 B2B 공동관 운영
○ 대만 및 중화권 시장 바이어와 1:1 비즈니스 상담 등 지원

경기도가 대만과 동남아 게임시장 공략을 위해 1월 25일과 26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리는 대만게임쇼 2018 B2B존에 참가한다. 
대만게임쇼는 매년 열리는 중화권 대표 게임전시회로 올해는 1월 25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되며 B2B존(1.25~26)과 B2C존(1.26~29)이 별도로 운영된다. 지난해 대만게임쇼에는 43만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등 중국은 물론 최근 부상하고 있는 한자문화권을 가진 동남아시아 유저를 공략하려는 게임업계의 관심이 특히 높다. 
경기도가 대만게임쇼에 참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B2B존에 경기도관을 마련, 경기도 게임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대만게임쇼에는 ▲맘모식스(버추얼닌자) ▲(주)스카이피플(파이널블레이드, Dark Mirrors) ▲비앤에프게임즈(PROJECT H5) ▲(주)투락(얼라이오브아이언) ▲(주)볼트홀(가디언아레나) ▲(주)에이엔게임즈(아스트로네스트-더 비기닝) ▲(주)뎀코포레이션(다운힐마스터즈) 등 7개 게임개발사가 모바일뿐만 아니라 VR, HTML 5 기반의 다양한 게임을 선보일 예정이다.  
도는 참가업체의 대만 및 중화권 시장 진출과 수출 역량 강화를 위해 해외바이어와 도 게임기업간 1:1 비즈니스 상담을 지원할 예정이다.
안동광 경기도 콘텐츠산업과장은 “대만게임쇼에 이어 올해 3월 게임커넥션 아메리카, 8월 독일 게임스컴, 9월 도쿄게임쇼에 참가를 앞두고 있다”면서 “중소 게임기업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해 수출상담회, 챌린지 마켓 개최 등 다양한 지원을 펼치겠다”라고 말했다. 

대만게임쇼 2018 경기도관 운영 계획
◆ 도내 게임기업의 대만 및 중화권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대만게임쇼 경기도관 B2B 운영 계획임.  * 경기도 최초 참가
 □ 개  요
  ○ 행사명 : 대만게임쇼(Taipei Game Show) 2018
    ※ B2B : 1.25 ~ 26(2일), B2C : 1.26 ~ 29(3일)
  ○ 기 간 : 2018. 1. 25(목) ~ 1. 26(금) / 2일간
  ○ 장 소 : 타이페이 월드트레이드센터 1홀 H구역
  ○ 내  용 : 1:1 비즈니스 상담 지원, 관련 기업 간 네트워크 구축, 참가기업 간담회
  ○ 지원 사항 : 부스임차 및 디스플레이, 1:1 비즈매칭 지원(사전 및 현장매칭), 통역, 공동 홍보물(디렉토리북 등)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직원 참정권 보장”… 공직선거법 개정 반영
서울교통공사가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반영해 직원들의 정치 참여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방공기업 직원의 참정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른 해명과 후속 조치로, 공사는 내부적으로 개정된 법령을 정확히 안내하고 재발 방지에 나섰다.공사 감사실은 지난 5월 8일,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와 복무 기강 유지를 강조하는 내용의 공문을 사내에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공문이 올해 1월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고, 이전 법령을 기준으로 작성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일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은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상근직원을 선거운동 금지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지방공기업 직원의 정치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해당 직원들의 기본적인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된 개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언론 일부는 서울교통공사가 법 개정 사실을 무시한 채 직원의 정치 활동을 제한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교통공사는 설명자료를 통해 당시 공문이 개정 이전의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인정하며, 이후 전 직원에게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핵심 내용을 별도로 안내하는 공문을 추가로 시행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