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관계기관 전문가 한자리에 모여 동절기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역량 높인다

- 야생동물질병관리원, 2024년 조류인플루엔자 담당자 역량강화 토론회 개최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원장 신동인)은 9월 2일부터 이틀간 ‘2024년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AI) 관계기관 담당자 역량강화 토론회’를 부산파라다이스호텔(부산시 해운대구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조류인플루엔자는 지난 겨울(2023~2024년) 국내 야생조류에서 19건, 가금농가에서 32건이 발생했고, 최근 유럽 및 미국* 등에서 고병원성 바이러스(H5N1 유전형)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특히 국내는 겨울 철새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는 겨울철(동절기)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 대응이 중요하다.
 * 미국에서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올해 8월 29일 기준으로 13개 주 193호의 젖소농장에서 검출

  이에 이번 행사는 야생동물 조류인플루엔자 관리를 담당하는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축), 질병관리청(인체), 행정안전부 및 지자체 등 관계기관 120여 명이 참여하여 야생동물 조류인플루엔자 대응방안을 두고 종합적인 분석과 토론을 펼친다.
   
  토론회 제1부에서는 환경부 및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서 △동절기 조류인플루엔자 정책 방향 및 대응, △야생포유류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실태, △야생동물 질병관리시스템 활용방안 등을 논의한다.

  제2부에서는 권정훈 경북대 수의과대학 교수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해외 발생 및 대응’, 최유성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가 ‘국내 겨울철새 생태적 특성’을 주제로 강연을 한다. 

  이원영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야생조류 위치추적을 통한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을 주제로 발표한다.

  행사 이튿날에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질병 전파동향 사전 확인 및 예방을 위한 야생조류 예찰 계획 및 지침을 논의한다.

  신동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은 “통합적 접근방법(원헬스)이라는 목표 아래 조류인플루엔자가 야생조류에서 가금류로 또는 포유동물로 종간장벽(species barriers)을 넘지 않도록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함께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개선하여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을 최소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관계기관 토론회 일정.
      2.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끝.


붙임 1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관계기관 토론회 


개 요

 

 ○ 일시 및 장소 : 9.2(월)~9.3(화),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 참석 대상 : 환경부, 농식품부, 질병관리청, 행정안전부, 지자체 등 120여명

 ○ 주요 논의내용 : 국내 야생동물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정책 및 대응, 해외 발생 및 대응 현황, 국내 도래 겨울철새 생태 특성 등

일자

시간

내용

비고(담당자)

9.2.

()

13:0014:00

60

참가자 등록

-

14:0014:10

10

행사 안내 및 내빈 소개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14:1014:20

10

개회사 및 장관 표창 수여식

신동인 원장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14:2014:30

10

단체 기념 촬영

-

: 야생조류 AI 업무 관련 발표

14:3014:50

20

‘24-’25년 동절기 야생조류 AI 정책방향

환경부 야생동물질병관리팀

14:5015:50

60

국내 야생조류 AI 발생 및 대응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야생포유류 AI 감염실태 조사현황

야생동물질병관리시스템(WADIS)을 활용한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AI) 검사의뢰

15:5016:00

10

휴식

-

: 외부 전문가 강연

16:0017:30

90

고병원성 AI 해외 발생 및 대응

권정훈 교수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국내 겨울철새 생태적 특성

최유성 연구사

(국립생물자원관)

야생조류 위치추적을 통한 AI 대응

이원영 연구원

(극지연구소)

17:3018:00

30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지자체 담당자 등)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9.3.

()

10:0010:30

30

야생동물 AI 관련 업무 협의
(환경부유역지방청 AI 담당자 등)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10:3012:00

90

‘24-’25년 야생조류 예찰·검사 지침 실무회의

환경부-농식품부

12:00

-

폐 회

 


붙임 2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발생 현황

연도

‘10.11

’11.2

‘14.1

’14.5

‘14.12

’15.1

‘16.11

’17.3

‘17.11

’18.2

‘20.10

’21.4

‘21.10

’22.5

‘22.10~

’23.3

‘23.11~

’24.2

고병원성

(HPAI)

발생건수

21

38

20

65

12

234

67

174

19

주유형

H5N1

H5N8

H5N8

H5N6/N8

H5N6

H5N8

H5N1

H5N1

H5N1/N6


야생조류·가금류 고병원성 AI 월별 발생추세

구 분

누계

10

11

12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야생

조류

‘16’17

65

1

1

2

7

8

1

19

2

1

6

3

4

16

5

1

1

3

1

11

7

4

2

3

-

16

2

-

-

‘20’21

234

2

1

2

2

6

2

13

8

6

12

13

8

47

15

26

28

37

-

106

21

12

7

15

-

55

11

-

-

‘21’22

67

2

1

1

3

2

-

7

4

2

-

2

-

8

-

1

6

6

-

13

2

5

4

2

-

13

24

-

-

‘22’23

174

10

3

11

20

16

9

59

5

11

7

6

11

40

18

15

8

3

3

47

3

4

3

1

1

12

6

-

-

‘23’24

19

-

-

-

-

-

3

3

5

-

4

1

-

10

-

3

-

-

1

4

1

1

-

-

-

2

-

-

-

 

* 채취일 기준

 

 

 

 

 

 

 

 

 

 

 

 

 

 

 

 

 

 

 

 

 

 

 

 

 

 

 

 

가금

농장

‘16’17

383

-

-

-

16

32

-

48

59

55

82

50

19

265

14

7

3

3

-

27

-

2

-

7

3

12

29

2

-

‘20’21

109

-

-

-

-

1

-

1

3

9

6

11

14

43

8

14

7

10

-

39

5

7

5

3

-

20

5

1

-

‘21’22

47

-

-

4

3

1

-

8

2

1

4

2

2

11

1

1

4

3

-

9

6

9

1

1

-

17

1

1

-

‘22’23

75

3

4

5

6

5

4

24

6

9

4

7

3

29

5

2

-

-

-

7

-

-

-

5

1

6

2

4

-

‘23’24

32

-

-

-

-

-

1

1

5

9

9

1

-

24

2

2

-

1

-

5

-

1

-

-

-

1

-

-

1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