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가 임금님 수라상에 오른 “별미 중의 별미”로 각광을 받고 있는 토종 참게를 방류해 생태계 복원 및 내수면어업 활성화에 나선다.
전라북도 수산기술연구소(소장 전병권)는 도내 수생태계 복원 및 내수면어업 활성화를 위하여 내수면 갑각류 중 고부가가치 품종인 어린 참게 18만 마리를 5월 14~16일까지 4개 시·군에 방류할 예정이다.
방류장소(방류량) : 군산 탑천(3만), 익산 금마제(5만), 부안 생태공원(3만), 고창 주진천(7만)
이번에 방류하는 어린 참게는 3월에 어미 참게를 확보하여 성숙 및 산란유도로 유생을 부화시킨 후 약 50일간 사육관리 한 갑폭 0.7cm 이상의 어린 게이며, 방류수산생물 전염병 검사를 통과한 건강한 우량종자이다.
참게는 주로 민물에서 살지만, 가을에 바다로 내려가 월동 후 다음 해 봄에 바다에서 산란을 하고, 어린 참게가 되어 민물로 다시 올라와 생활하는 회유성 품종으로 금강 등 기수지역이 많은 전라북도는 한때 참게 주 서식지로 알려져 있었으나 생태계 변화 및 하천공사 등으로 점차 자원량이 줄어드는 추세였다.
이에, 수산기술연구소 민물고기시험장에서는 참게 자원회복을 위하여 `01년도부터 ‘18년까지 어린참게 3,073천마리를 도내 하천 등에 지속적으로 방류하여 사라져 가던 참게가 다시 서식하는 수면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라북도 전병권 수산기술연구소장은 “앞으로도 고부가가치이며, 생태관광 및 학습, 지역축제와 연계하여 6차 산업화가 가능한 품종인 참게를 꾸준히 방류하여 건강한 내수면 생태계 조성 및 농·어업인 소득증대, 지역경제 활성화에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참고 1 참게 방류 실적
그간 총 방류량 : 총 3,073천마리
2001 ~ 2010년 : 1,513천마리
2011년 : 200천마리 2012년 : 120천마리
2013년 : 260천마리 2014년 : 191천마리
2015년 : 185천마리 2016년 : 194천마리
2017년 : 200천마리 2018년 : 210천마리
참고 2 참게 생태
(분포) 우리나라 서해안, 중국 양자강 등
(서식) 연안에서 난이 부화하고 어린 게로 성장 후 , 3~8월에 걸쳐 담수로 올라와 성체가 되기까지 지내며, 8월~11월 까지 다시 바다로 내려가 교미 및 산란을 한다.
(식성) 잡식성이지만 주로 물고기, 수생곤충, 새우, 다슬기 등 섭식
(형태) 채색은 흑자색에서 황록색을 띄며, 갑형은 모서리가 없는 4각형으로 성체 크기는 갑장 68mm, 체중 98~ 254g정도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