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부산시-르노삼성, 첨단 엔진 프로젝트 유치 성공


 부산시와 르노삼성이 차세대 신기술을 결합한 엔진 생산 프로젝트 유치 성공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내 해외 공장들과 생산 설비 유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 차지
부산시의 적극적인 기업 지원으로 이뤄낸 민·관 협력 글로벌 성공 사례

부산시와 르노삼성자동차는 차세대 신기술을 결합한 엔진 생산시설을 부산공장으로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르노삼성자동차가 첨단 엔진 부품을 국산화하면서 생산하게 되는 1.6ℓ GDI 터보 MR엔진과 2.0ℓ GDI MR엔진은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해외 엔진공장 (일본 요코하마 닛산 공장, 중국 둥펑 르노 공장)들과 생산설비 유치를 위해 경쟁중이었다. 부산에서 생산하는 1.6ℓ GDI 터보 MR엔진과 2.0ℓ GDI MR엔진은 SM6 등에 장착하게 된다.

그동안 르노삼성자동차는 위 엔진 생산의 핵심부품인 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드, 크랭크 샤프트, 캠 샤프트, 커넥팅 로드 등의 부품 국산화 사업을 추진 중이었으나, 국산화에 소요되는 비용이 약 350억원으로 해외 경쟁 공장에 비해 다소 비싼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부산시는 지역 협력업체와 함께 부품 국산화를 개발할 수 있도록 약 30억원의 규모로 지원하기로 하여 르노삼성자동차가 해외 경쟁 공장과 동등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이같은 부산시의 지원으로 국산화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 르노삼성자동차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며, 위 엔진의 생산설비를 유치하게 됐으며 르노그룹의 시설투자금도 확보하게 됐다. 이로써 르노삼성자동차는 국내에서의 영업이익을 부산공장의 경쟁력 강화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엔진 핵심 부품 국산화 성공에 따른 수입 대체 효과는 연간 131억원에 달할 것이며 부산공장에서 생산한 엔진을 프랑스와 스페인에 소재한 르노그룹의 완성차 생산 공장으로 수출할 수 있는 판로도 확보하게 된다.

또한, 1.6ℓ GDI 터보 MR엔진과 2.0ℓ GDI MR엔진의 국산화 생산에 이어 성능과 연비를 대폭 개선한 1.8ℓ GDI 터보 MR엔진 역시 부산공장 생산으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르노의 ESPACE, MEGANE, ALPINE 등의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해외 완성차 생산 공장에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스페인에 있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해외 공장으로 수출할 1.8ℓ GDI 터보 MR엔진의 연간 수출액은 984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첨단 엔진 프로젝트 유치 사업에는 차세대 신기술인 실린더 플라즈마 보어 스프레이 코팅 기술(엔진 경량화 및 마찰 개선)이 적용되어, 부산공장의 미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시는 엔진 국산화 성공이 르노삼성자동차의 생산물량 증가, 수출 확대, 협력사 매출 증대, 부품 국산화율 제고 및 첨단기술 확보 등으로 부산지역의 자동차 및 부품산업의 발전과 일자리 창출의 효과로 부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최근 수출 및 내수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는 르노삼성자동차의 글로벌 경쟁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