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도, 6개 시군 918ha 대상 ‘경축순환농업’ 추진 ‥ 축산·경종 상생 도모

○ 경기도, 올해 11월부터 6개 시군 918ha 농지 대상 ‘경축순환농업’ 추진
- 엄격한 부숙관리와 가축분뇨법에 따른 퇴액비화 기준 적합 퇴비 사용
- 화성·용인 등 6개 시군 215개 농가 918ha 농지 대상
- 퇴비유통 전문조직 활용‥퇴비 운반, 살포, 경운 등 퇴비 이용 편의 제공


경기도는 올해 화성·용인 등 총 6개 시군 918ha 농지를 대상으로 엄격한 부숙관리를 거친 가축분뇨를 비료로 활용하는 ‘경축순환(耕畜循環) 농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경축순환 농업’은 가축분뇨를 사용해 작물을 기르고, 볏짚 등 작물의 부산물을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는 농업을 말한다.
무엇보다 자칫 오염원이 될 수 있는 가축분뇨를 체계적으로 잘 숙성, 자원화해 농경용 퇴비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최근 지속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순환농업 방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7~10월 도내 경종(耕種) 농가를 대상으로 참여 신청을 받았고, 이후 경기도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협조로 해당 농경지에 대한 토양검사와 부족한 비료량을 산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도는 올해 11월부터 내년 4월까지 퇴비유통전문조직을 통해 참여 경종 농가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퇴비의 운반·살포 등을 무상 지원할 방침이다. 
사업 대상지는 화성 150곳, 용인 28곳, 이천 10곳, 포천 9곳, 평택 17곳, 연천 1곳 총 6개 시군 215개 농가 농경지로, 총면적은 약 918ha에 달한다.
이들 경종 농가를 대상으로 퇴비를 공급할 축산농가는 총 6,274곳으로, 현재까지 4,283개 농가가 퇴비화 검사를 통해 적합 판정을 받은 상태다.
이 사업은 축산농가의 엄격한 부숙(발효) 관리를 거쳐 가축분뇨법에 따른 퇴액비화 기준에 적합한 가축분뇨를 농가에 살포한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질소, 칼슘 등 농경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 요소를 갖추면서도, 일반 축분보다 냄새가 월등히 적고 주변 환경에 끼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농업용 비룟값 상승으로 경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경종 농가에도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양질의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산농가와 경종 농가의 상생에도 크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동시에 퇴비유통전문조직에서 농지 갈기 등 경운작업까지 지원해 경종 농가의 노동력 부족 문제 해소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김영수 축산산림국장은 “이 사업은 축산악취 감소는 물론, 경종 농가의 화학비료 사용량을 감소하고, 탄소중립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축산과 경종이 상생하는 경축순환농업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 1

 

            경축순환농업 활성화 추진


                                      경기도 경축순환농업 추진체계

경기도 경축순환농업추진 체계

 

 

 

 

 

 

 

농정해양국

(친환경농업과)

농업기술원

축산산림국

(축산정책과)

 

 

경축순환농업

참여농가 모집

(6~10월 추진)

 

참여농가 농경지 토양검정축분퇴비 검사

(10~11추진)

 

참여농가 농경지 축분퇴비 살포경운

(당해연도 11~익년도 4월 추진)

                             
 22년 경기도 경축순환농업 참여(신청) 현황

시군명

참여

단체 수

면적

(ha)

필지 수

농가 수

비고

합계

8

918

2,851

215

 

이천시

1

5

10

10

 

화성시

2

771

2,429

150

 

포천시

1

19

68

9

 

평택시

2

21

54

17

 

용인시

1

100

282

28

 

연천군

1

2

8

1

 

                                          
‘22년 도내 축산농가 퇴비 부숙도 검사실적(9.30 기준)
                                                                   [단위 : 농가/]

축종

구분

대상농가

부숙도 적합

검사예정

총괄

6,274

4,283

1,991

1,500미만

3,381

2,081

1,300

1,500이상

2,893

2,202

691

한우

합계

2,703

2,083

620

1,500미만

1,812

1,271

541

1,500이상

891

812

79

낙농

합계

1,989

1,572

417

1,500미만

702

578

124

1,500이상

1,287

994

293

양돈

합계

924

413

511

1,500미만

383

140

243

1,500이상

541

273

268

가금

합계

366

161

205

1,500미만

210

54

156

1,500이상

156

107

49

기타

합계

292

54

238

1,500미만

274

38

236

1,500이상

18

16

2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연천군, 접경지역 AI 기반 그린바이오 미래 성장 전략 모색
경기도 연천군(군수 김덕현)은 지난 6월 27일 국립 통일교육원에서 개최된 『2025 지리학대회 접경지역 AI 특별 세션』에 참석하여 AI 기술을 활용한 접경지역 전략산업 및 지정학적 재편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특별 세션은 대한지리학회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AI·GIS·그린바이오·안보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접경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기조 발제를 통해, “연천군은 수도권에 위치하면서도 DMZ 천연자원을 비롯해 임진강·한탄강 등 풍부한 수자원과 드넓은 가용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AI 기반 정밀농업 실행과 그린바이오 산업육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천군은 현재 ▲자율주행 트랙터 및 농업용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실증사업, ▲국내 최초 위성 기반 정밀농업 시범사업, ▲연천 BIX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AI 기반 미래 전략산업(그린바이오)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연천군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및 DMZ 접경지역의 지리·생태적 강점을 바탕으로 AI 정밀농업 운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남북 농업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