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획특집행사

서울시, 광화문 광장 개장 기념행사 맞춰 특별교통대책 추진

- 세종대로(광화문삼거리~세종대로 사거리) 행사당일 18~22시, 4시간 전면 통제


  - 통제구간 버스노선 38개, 18시부터 22시까지 새문안로·우정국로 등으로 우회
  - 지하철 5호선은 예비열차 방향별 1대씩 대기하여 혼잡 시 즉각 투입 준비
  - 행사 주변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행사장 주변 불법 주정차 특별 단속
  - 서울시, 토피스 누리집 등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이용정보 및 도로상황 등 실시간 안내
  
 광화문광장 개장 기념행사가 8월 6일(토) 19시부터 21시 30분까지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진행되며, 행사 준비로 인해 행사 당일 18시부터 22시까지 광화문광장 앞 세종대로가 전면 통제되는 등 외출 시 도로 상황 및 대중교통 확인이 필수다.
  8.6.(토) 18시~22시 : 광화문 삼거리~세종대로 사거리 전면통제
   ※ 미 대사관에서 광화문 삼거리 방향 1차로는 통행이 허용되며, 안국역 방향으로 우회전만 가능
  8.2.(화) 18시~8.7.(일) 10시 : 무대설치구역 뒤편 1개 차로 15m 부분통제


 서울시는 행사 당일 관람객 및 인근 지역을 경유하는 시민들의 이동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스 임시 우회운행, 지하철 역사 안전 강화, 도로소통 정보 제공, 불법 주정차 특별단속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세종대로 통제로 광화문광장 앞 정류소를 경유했던 38개 버스 노선은 통제 기간동안 새문안로·우정국로 등 주변도로로 우회 운행한다.
  시내버스 19개, 시티투어버스 1개, 마을버스 2개, 경기·인천버스 16개 <붙임 참조>


 지하철의 경우 5호선 차량기지에 예비열차가 방향별로 1대씩 대기하였다가 혼잡 가중 시 즉시 투입할 계획이며, 광화문 주변 역사는 승강장·대합실 등 질서 유지 및 안내 요원을 40명 추가 배치한다.
  광화문역·경복궁역·종각역은 8.1(월)부터 승강편의시설을 집중 안전점검 중이며, 행사 당일 안내요원들은 역사 내 질서 유지 및 행사장 방향 출구, 열차 이용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주변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오후 2시부터 오후 10시까지 행사구간을 제외한 세종대로, 새문안로, 사직로 등에 대해 불법주정차 특별단속도 실시한다.
   서울시와 종로구, 중구청이 합동으로 단속에 나서며, 주정차 위반 차량은 우선 계도위주로 지도하고 불응차량은 즉시 단속조치한다.
 행사로 인한 버스 우회운행 정보 및 도로통제 정보는 서울교통정보센터 ‘토피스’ 누리집(http://topis.seoul.go.kr/) 또는 ☎120다산콜센터에서 확인가능하다.
   버스 우회운행 정보는 8월 1일부터 BIT, 버스 내외부에 부착한 안내문을 통해 무정차 정류소 및 우회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도로 통제 정보도 8월 1일부터 행사장 주변도로 및 도시고속도로 진출입구간 등에 있는 도로전광표지(VMS)에 표출 중으로 승용차 이용 시 참고할 수 있다.

 백 호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새로운 광화문 광장을 방문하는 관람객 및 시민들을 위해 대중교통, 주차 등 이동 편의를 위한 교통 대책을 추진한다 ”며 “행사장 방문 시에는 교통 정보 사전 확인과 대중교통 이용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붙 임 1

행사장 인근 도로 통제 현황


ㅇ (전면통제) 세종대로(광화문 삼거리~세종대로 사거리)
  - (통제시간) 8.6.(토) 18:00~22:00, 4시간
  ※ 미대사관 → 광화문삼거리 1차로 개방구간은 광화문삼거리에서 안국역 방향으로 우회전만 가능
 
ㅇ (부분통제) 행사 준비 등으로 무대설치구역 뒤편 1개 차로(15m구간)

                              - (통제시간) 8.2(화) 18:00 ~ 8.7(일) 10:00


붙 임 2

버스 우회 노선 현황

     
ㅇ (우회대상) 광화문교차로 ~ 세종대로 사거리 구간 정류소 정차 노선 38개
 ㅇ (우회기간) 2022. 8. 6.(토) 18:00 ~ 22:00, 4시간

연 번

운 수 사 명

노 선 번 호

노 선 수

서울시내버스 18개 운수사

-

38

1

남성교통. 동성교통

9401

1

2

도선여객

406

1

3

도원교통

1711

1

4

대진여객

1020

1

5

동해운수

700

1

6

북부운수

01

1

7

삼화상운

103

1

8

서부운수

7018

1

9

서울버스

401

1

10

서울매일버스

9703

1

11

선진운수

7022, 7212

2

12

신길운수

606

1

13

영신여객

109

1

14

유성운수

7016

1

15

제일여객

704, 9714

2

16

진화운수

402

1

17

한국BRT

708

1

18

시티투어버스

TOUR11

1

19

마을버스

종로09, 종로11

2

20

경기 / 인천

5000A, 5005, 5500-2, 9000 5000B, 9000-1, 9200, M7106 M7111, M7119, M7129, 1000, 1100, 1200, 1900, G7111

16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방식 바꾸니 길이 열렸다, 공감으로 푸는 해묵은 과제… 양평군, 종합 장사시설 건립 박차!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장례문화가 화장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양평군에는 공설 화장시설이 없어, 군민들은 사망 후에도 먼 타 지역으로 ‘원정 화장’을 떠나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이러한 군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누구나 존엄한 이별을 누릴 수 있도록 양평의 현 상황과 주민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양평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속도를 내고있다. 군의 화장률은 이미 93%를 넘어섰고 사망자 수는 2038년까지 연간 약 2,1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군 내에는 화장시설이 단 한 곳도 없어 대부분의 군민은 성남, 원주, 춘천 등지의 화장장을 이용해왔다. 화장 수요가 급증하면서 타지역 예약도 점차 어려워졌고 실제로 경기도의 ‘3일차 화장률’은 2024년 66.8%에서 2025년 1월 기준 31.2%로 급락했다. 이는 장례를 치르고도 정작 화장을 제때 하지 못하는 유족에게 감정적·물리적 부담이 큰 현실을 반영한다. 군은 이러한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2023년 종합장사시설 건립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과천시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키로 결정했다. 공동건립은 시설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김영록 지사, 영광 불갑사 취암당 만당 종사 영결식 참석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7일 영광 불갑사에서 엄수된 취암당 만당 종사 영결식에 참석해, 고인의 삶과 업적을 기리며 깊은 애도를 표했다. 영결식은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장 주관으로 진행됐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중앙종회의장 주경 스님, 백양사 주지 무공 스님을 비롯해 국회의원, 지자체장, 불교계 인사, 지역 주민 등 500여 명이 함께했다. 만당 종사(1964년 구례 출생)는 2001년부터 2025년까지 불갑사 주지로서 불교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 불갑사를 천년고찰의 위상에 맞게 중창했으며, 영광의 대표 명소인 꽃무릇 군락지를 조성하고, 상사화 축제를 전국적인 축제로 발전시켰다. 템플스테이 프로그램과 사찰음식 보급을 통해 일반 대중과 세계인이 불교와 인연을 맺도록 하는데 앞장섰으며, 불교문화사업단장으로서 한국불교의 대중화와 문화 진흥에 큰 역할을 했다. 김영록 지사는 조사(弔辭)를 통해 “만당 종사의 삶은 꺼지지 않는 등불 같은 정진이자, 중생을 위한 보살행이었고, 불갑사를 전국적 성지로 일구고, 한국불교가 대중과 세계로 나아가는 길을 닦으셨다”며 “아직 이루지 못한 구층목탑 건립의 원력을 가슴에 새기고, 전남도가 종사님이 일군 불교문화 성지를 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