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항만 수출입 물동량 14개월 만에 증가

- 2019. 12. 이후 처음으로 전년 동월 대비 0.4% 증가, 컨테이너 물동량은 0.9% 감소 -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1년 2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1,830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111만 톤) 대비 2.3%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20.11) 13,078만 톤(2.8%↓), (’20.12) 12,781만 톤(14.0%↓), (’21.1) 12,895만 톤(1.6%↓), 

 ㅇ 수출입 물동량은 이산화탄소 저감 정책에 따라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고 스포츠형 다목적차량(SUV) 및 친환경차 수출 증가로 자동차 물동량이 증가하여 2019년 12월 이후 14개월 만에 전년 동월(1억 235만 톤) 대비 0.4% 소폭 증가한 총 1억 278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20.11) 11,095만 톤(3.0%↓), (’20.12) 10,803만 톤(16.0%↓), (’21.1) 11,118만 톤(1.0%↓)

 ㅇ 컨테이너 물동량은 설 연휴로 인한 수출입 기업의 조업일수 감소 및 터미널 운영일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소폭 감소(0.9%)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20년에는 설날이 1월(1. 24.~26.)이었으나 2021년에는 설날이 2월(2. 11.~13.)이었으며, 2021년 2월은 28일로 윤년인 2020년 2월(29일)에 비해 터미널 운영일수 1일이 부족

 ㅇ 연안 물동량은 수송량 비중이 높은 유류, 광석, 시멘트 등의 수요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월(1,876만 톤) 대비 17.2% 감소한 총 1,552만 톤을 처리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212) ]

(단위 : 만 톤, %)

구 분

’20.2

최근 3개월

’21.2

’20.11

’20.12

’21.1

총물동량

12,111

13,078

12,781

12,895

11,830

전년 동월 대비

0.6

2.8

14.0

1.6

2.3

 

수 출 입

10,235

11,095

10,803

11,118

10,278

 

연 안

1,876

1,983

1,978

1,777

1,552

         
□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과 인천항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4%, 9.4% 증가하였고 광양항과 울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1.0%, 16.3% 감소하였다.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12) ]

(단위: 만 톤)


                                                             컨테이너 화물
□ 2021년 2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환적물량과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로 인해 전체적으로는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0.9% 감소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11) 258만 TEU(5.9%↑), (’20.12) 249만 TEU(0.0%), (’21.1) 247만 TEU(3.8%↑)

 ㅇ 수출입은 전년 동월(127만 TEU) 대비 0.6% 감소한 126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이 65만 TEU(4.0%↓), 수입이 62만 TEU(3.1%↑)로 수입 물동량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국가별로는 주요 교역상대국인 대중(對中) 수출입 증가세(24.3%↑)가 두드러졌다.

     * (’20.11) 142만 TEU(1.8%↑), (’20.12) 140만 TEU(3.0%↓), (’21.1) 142만 TEU(8.9%↑) 

 ㅇ 환적은 전년 동월(94만 TEU) 대비 1.0% 감소한 93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11) 114만 TEU(12.0%↑), (’20.12) 107만 TEU(4.0%↑), (’21.1) 102만 TEU(2.4%↓) 

                                       [ 전국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212) ]

(단위 : TEU, %)

구 분

’20.2

최근 3개월

’21.2

’20.11

’20.12

’21.1

총물동량

2,226

2,578

2,487

2,465

2,205

전년 동월 대비

3.0

5.9

0.0

3.8

0.9

 

수 출 입

1,272

1,421

1,401

1,423

1,264

환 적

936

1,142

1,066

1,024

926

 

연 안

18

15

20

18

15

                 
□ 부산항은 전년 동월(173.7만 TEU) 대비 3.4% 감소한 167.7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물량을 중심으로 물동량이 감소하였다.

    * (‘20.11) 193만 TEU(5.9%↑), (’20.12) 187만 TEU(0.2%↑), (’21.1) 184만 TEU(1.9%↑) 

 ㅇ 수출입은 부산항의 물동량 기준 상위 10개국 가운데 중국(12.5%↑)을 제외한 일본(18.6%↓)․미국(7.1%↓) 등 9개국의 물동량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월(84.3만 TEU) 대비 7.9% 감소한 77.7만 TEU를 처리했다.
 
    * (‘20.11) 85만 TEU(1.0%↓), (’20.12) 84만 TEU(4.1%↓), (’21.1) 85만 TEU(7.6%↑)

 ㅇ 환적은 전년 동월(89.3만 TEU) 대비 0.7% 증가한 90.0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주요국가(중국 27.5만(39.7%↑)의 환적물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20.11) 108만 TEU(12.1%↑), (’20.12) 103만 TEU(3.9%↑), (’21.1) 99만 TEU(2.5%↓)

□ 인천항은 전년 동월(18.0만 TEU) 대비 36.4% 증가한 24.6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은 2020년 2월, 7월에 각각 개설된 베트남․중국 신규항로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17.6만 TEU) 대비 36.1% 증가한 24.0만 TEU, 환적은 전년 동월(3천 TEU) 대비 소폭 증가한 5천 TEU를 처리하였다.

    * (‘20.11) 30만 TEU(9.4%↑), (’20.12) 28만 TEU(4.1%↑), (’21.1) 31만 TEU(15.7%↑)

□ 광양항은 전년 동월(18.7만 TEU) 대비 15.5% 감소한 15.8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 감소(전년동월(15.0만 TEU)대비 6.5% 감소한 14.0만 TEU)와 더불어 해운동맹 재편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3.8만 TEU) 대비 51.4% 감소한 1.8만 TEU에 그쳐 전체 물동량은 감소했다.

    * (‘20.11) 18만 TEU(4.3%↓), (’20.12) 17만 TEU(10.6%↓), (’21.1) 16만 TEU(1.8%↓)

    ※ HMM의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 가입(’20.4)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중동노선 폐지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2021년 2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7,959만 톤으로 전년 동월(8,414만 톤) 대비 5.4% 감소하였고, 개별항만으로 보면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은 소폭 증가한 반면 울산항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20.11) 8,445만 톤(4.9%↓), (’20.12) 8,383만 톤(13.8%↓), (’21.1) 8,540만 톤(4.5%↓)

                                      [ 전국 항만 비컨테이너 물동량(’212) ]

(단위 : 만 톤, %)

구 분

’20.2

최근 3개월

’21.2

’20.11

’20.12

’21.1

총물동량

8,414

8,445

8,383

8,540

7,959

전년 동월 대비

5.6

4.9

13.8

4.5

5.4

 

수 출 입

6,555

6,476

6,424

6,780

6,420

 

연 안

1,859

1,969

1,959

1,760

1,539

                         
ㅇ 광양항은 석유정제품 등 석유화학제품의 수요가 부진하였으나, 제철 관련 제품(광석, 유연탄 등)의 물동량 회복으로 전년 동월(1,888만 톤) 대비 0.5% 증가한 1,898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울산항은 전 세계 자동차 수요 회복에 따라 자동차 수출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유류 수출입 및 유연탄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월(1,532만 톤) 대비 16.0% 감소한 1,287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인천항은 광석 및 철제 관련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917만 톤) 대비 1.2% 증가한 928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평택·당진항은 유가 상승세에 따른 계약 물량 증가로 유류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853만 톤) 대비 2.5% 증가한 874만 톤을 기록하였다.

□ 품목별로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원유,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등)와 광석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0%, 5.0% 감소하였고, 유연탄과 자동차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2%, 20.2% 증가하였다. 

 ㅇ 유류는 광양항과 울산항의 원유 및 석유정제품 수출입 물동량 감소 및 내수 수요 감소에 따른 연안 수송량 감소로 전년 동월(4,083만톤) 대비 5.0% 감소한 3,880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광석은 철강제품 주요 생산기지가 있는 광양항, 평택·당진항의 철광석 수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포항항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여 전년 동월(1,059만톤) 대비 5.0% 감소한 1,006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유연탄은 광양항 제철용 원료탄 수입 물동량 증가와 화력발전소가 소재한 일부 항만(보령항, 하동항 등)의 유연탄 수입 증가로 전년 동월(885만 톤) 대비 0.2% 증가한 887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자동차는 전 세계 자동차의 수요 회복세 및 자동차부품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502만 톤) 대비 20.2% 크게 증가한 604만 톤을 기록하였다.

□ 박영호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항만 수출입 물동량이 14개월 만에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항만 물동량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선사 및 터미널 운영사 등과의 비대면 마케팅 등 온라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고 항만별로 다양한 물동량 유인책을 병행하여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국수자원공사,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대형화를 위한 실천 방향 모색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환경부와 함께 7월 18일 서울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에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대형화* 전문가포럼’을 개최했다. * 대형화란 정수, 에너지 전환, 폐수처리 등 다양한 기술을 하나의 프로젝트로 통합해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고, 이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실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임. 이번 포럼은 국제감축사업의 실행 전략을 논의하고, 사업의 대형화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후, 기술,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약 70여 명이 참석했으며, 주한 키르기즈공화국 아이다 이스마일로바(Aida Ismailova) 대사도 함께 자리해 협력 의지를 나타냈다. 국제감축사업은 파리협정 제6조에 따라 국가 간 협력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고, 그 실적을 상호 인정받는 방식이다. 국내 감축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개발도상국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제감축사업은 국가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부 국제감축사업 전담기관으로 2024년부터 현재까지 4개국 11개 사업을 발굴했으며 키르기즈공화국 비슈케크시 도시재생사업, 우즈베키스탄 수력 재개발사업 등 다양한 현지 맞춤형 협력모델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포럼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용인특례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관광박람회'서 관광 홍보관 운영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18일부터 21일까지 일산 킨텍스(KINDEX)에서 열리는 ‘제10회 대한민국 국제관광박람회’에 참가해 관광 홍보관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국제관광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관계자와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 올해 10회를 맞아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볼거리가 준비돼 있다. 시는 이번 박람회에서 지역의 주요 유료 관광지와 체험 공간, 카페 등을 한 장의 티켓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용인투어패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소개하고 있다. 시는 또, 에버랜드, 한국민속촌, 용인자연휴양림, 용인농촌테마파크 등 용인의 대표 관광 명소와 주요 관광 자원을 홍보하며, 방문객들에게 용인의 매력을 알리고 있다. 홍보관 현장에서는 시 대표 캐릭터 ‘조아용’과 함께하는 포토타임과 룰렛 이벤트도 마련돼, 관람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용인 관광 홍보물도 증정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박람회를 통해 용인의 매력적인 관광 콘텐츠를 널리 알리고 지역 관광산업의 발전에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관광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관광 자원을 지속 발굴하고 콘텐츠 품질을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 용인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