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 1 | | 2020년 통합·집중형 사업 선정결과 |
○
○이천 죽당천 등 6개 하천 1,220억원(국비, 지방비 별도) 투자
※ 사 ※사업 예산은 지자체의 신청기준으로 편성한 것이므로 개별 사업 심의 시 사업규모, 예산 은 변 동될 수 있음
유역청 | 하천명 | 유역 여건 | 주요 문제점 | 개선사업 | 기간 |
| 6개 하천 | | | 총 1,220억원 | |
한강 | 죽당천 (이천시) | o 하천연장: 5.51km o 유역면적: 22.1㎢ o 중권역 : 남한강하류 o BOD: 4.9ppm o 주거지 | o 부발 미처리 하수 o 축사, 농경지 비점 | <3개소 253억원> o 하수처리(150억) o 하수관로(73억) o 비점오염저감(30억) | ‘12~’24 ‘11~’24 ‘21~’23 |
통복천 (평택시) | o 하천연장: 10.54km o 유역면적: 39.2㎢ o 중권역 : 안성천 o BOD: 5.3ppm o 주거지, 상가 | o 도시비점 o 저수지 수질 o 생활하수 수질 | <4개소 140억원> o CSOs 처리시설(7억) o 배다리저수지 비점(5억) o 배다리저수지 정화(19억) o 총인처리(109억) | ´22~´23 ´22~´23 ´21~´23 ‘21~´23 | |
낙동강 | 괴정천 (부산시) | o 하천연장: 5.37km o 유역면적: 9.78㎢ o 중권역: 낙동강하구언 o BOD: 16.5ppm o 주거지, 상가 | o 합류식 월류수 o 도시비점 | <3개소 150억원> o 생태하천복원(지방비) o 비점저감(150억) o 하수관로BTL(민자) | '20~'25 '21~'25 '19~'23 |
금강 | 승천천 (천안시) | o 하천연장: 18.18km o 유역면적: 67.39㎢ o BOD: 4.0ppm o 중권역: 미호천 o 농경지, 축사 | o 생활하수 유입 o 비점오염 유입 (농경지, 축사) | <4개소 395억원> o 하수관로정비(131억) o 바이오가스화시설(210억) o 비점저감(54억) o 생태하천복원(지방비) | '21~'23 '19~'24 '21~'23 '23~'25 |
보강천 (증평군) | o 하천연장: 8.2km o 유역면적: 76.52㎢ o BOD: 1.88ppm o 중권역: 미호천 o 도시, 농경지, 축사 등 | o 생활하수 수질 o 공단폐수 유입 | <4개소 177억원> o 공공하수 개량(82억) o 완충저류시설(42억) o 공공폐수(41억) o 공공폐수연계(12억) | '20~'25 '21~'23 '21~'23 '24~'25 | |
원주 | 양덕원천 (홍천군) | o 하천연장: 15.03km o 유역면적: 54.83㎢ o BOD: 1.72ppm o 중권역: 홍천강 o 군부대, 농경지, 축사 등 | o 군부대 오수처리 o 농공단지 폐수 o 농경지 비점오염 | <4개소 105억원> o 공공하수(2억) o 하수관로(18억) o 비점저감(40억) o 공공폐수증설(45억) | '22~'23 '22~'23 '22~'24 '21~'22 |
붙임 2 | | 통합·집중형 사업 추진 현황 |
유역청 | 1차 (´13-´17) | 2차 (´14-´18) | 3차 (´15-´19) | 4차 (´16-´20) | 5차 (´17-´21) | 6차 (´18-´22) | 7차 (´19-´23) | 8차 (´20-´24) |
60 | 10개 하천 | 11개 하천 | 10개 하천 | 9개 하천 | 6개 하천 | 5개 하천 | 4개 하천 | 5개 하천 |
한 강 (16) | 홍릉천(남양주) 죽산천(안성) | 중리천(이천), 굴포천(부천), 내동천(구리), 용정천(남양주) | 계양천(김포), 신천(양주) 옥구천(시흥), 여월천(부천) | 굴포천(인천), 시흥천(성남) | - | 굴포천(부천시) 송전천(용인시) | | 굴포천(부천시) 금석천(안성시) |
낙동강 (14) | 백천(성주), 대리천(부산북구) 호곡야촌천(함안) | 감전천(부산사상), 창녕천(창녕), 계성천(창녕) | 화포천(김해), 아천천(합천) | 초동천(밀양), 온천천(부산), | 함안천(함안) | 의령천(의령군) 석교천(함안군) | 양산천(양산) | 동천(부산시) |
금 강 (13) | 조천(세종), 매곡천(아산) | 신상천(서산) | 무한천(예산), 보강천(증평), | 천안천(천안), 남원천(당진), 석우천(당진) | 논산천(논산) | 석성천(부여군) | 기사천(금산) 성환천(천안) | 시곡백석천 (당진시) |
영산강 (8) | 장성천(나주), 개천(장성) | 영산천(나주), 함평천(함평) | 대강천(고흥) | 해룡천(순천) | 사교천(무안) 장수천(광주) | - | | |
원 주 (1) | - | - | 장양천(원주) | - | - | - | | |
새만금 (5) | 신평천(김제) | 미제천(군산) | - | 외정천(고창) | 주촌천(남원) 아중천(전주) | - | | |
대구 (3) | 백천(성주) | - | - | - | - | - | 구무천(포항) | 이계천(대구) |
붙임 3 | | 통합·집중형 개선사업 대상 하천 수질개선 사례 |
○ 원주시 장양천
유역여건 | 주요 문제점 | 주요 개선사업(국고) | 사업기간 | 현재까지 성과 |
o 하천연장: 10㎞ o 유역면적: 26㎢ o BOD 2.3ppm T-P 0.094ppm o 장양천 → 섬강 → 남한강 | o 미처리 생활하수 o 축사단지 방류수 | <3개소 299억원> o 하수관로(97억) o 하수관로(193억) o 축산습지(8억) | `18~`20 `11~`16 `14~`16 | o `19년도 모니터링 결과 - BOD 1.2ppm T-P 0.035ppm |
합천군 아천
유역여건 | 주요 문제점 | 주요 개선사업(국고) | 사업기간 | 현재까지 성과 |
o 하천연장: 12㎞ o 유역면적: 43㎢ o BOD 2.6ppm T-P 0.058ppm o 아천 → 황강 → 낙동강 | o 가축분뇨 o 미처리하수유입 o 비점오염 | <4개소 101억원> o 하수처리(5억) o 하수관로(64억) o 가축분뇨(28억) o 비점저감(4억) | `14~`15 `15~`18 `14~`19 `15~`16 | o `19년도 모니터링 결과 - BOD 1.3ppm T-P 0.045ppm |

붙임 4 | | 질의/응답 |
1.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의 목적은? |
ㅇ ㅇ 국 민의 일상 속에 있는 오염지류를 단기간 내에 수질을 개선하고, 생태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 유역 통합환경관리로의 방향전환 개념도>
2. 통합·집중형 오염하천의 선정 기준과 지원기간은? |
ㅇ 통합집중형 오염하천의 선정 기준은 수질현황, 인구밀집지역내 위치, 지역주민 개선요구, 지자에 개선의지 등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ㅇ 통합·집중형 개선사업은 국고보조사업으로 지원되는데 원칙적으로 3년으로 하되, 최대 5년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붙임 5 | | 전문용어 설명 |
1"통합․집중형 지원"이라 함은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바탕으로 생태하천복원, 하수도, 비점오염저감시설 등 다양한 개선수단을 오염지류에 단기간 내에 집중하여 지원하는 방식을 말함
2. 2"오염지류"라 함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본류를 제외한 지방하천, 소하천 등 모든 하천으로서 수질이 불량하거나 수생태계적으로 훼손된 하천을 말함
3. "3"비점오염저감시설"이란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임
※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함.
4.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 기간 동안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산소의 양으로 물의 오염된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
5. TP(Total Phosphorus, 총인) : 질소와 함께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 유기의 인 화합물의 총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