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8601A버스 경로 중 고가철로 부분 노선 변경 추진
관계기관 협의 완료 시까지 우회 운행
2층 버스 안전운행 강화 대책 마련
전담 운전기사 운용강화, 합동 안전교육 실시, 차량 안전시설 및 안전관리 강화
운행 도로상 잠재 위험시설 및 운행노선 안전 점검, 운수사별 안전대책 준수사항 특별 점검
경기도가 최근 서울 당산역 고가철로 아랫부분과 충돌 사고를 낸 김포운수 8601A버스의 노선변경을 추진한다. 두 차례나 사고가 난 만큼 사고 원인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2층 버스 안전운행 강화대책을 마련, 즉각 시행에 들어간다고 9일 밝혔다.
김포운수 8601A버스는 지난 9월 27일 당산역 아래를 지나다 운전자 실수로 지상 2층 높이의 역사 아랫부분을 들이받았다. 2층 버스 높이는 4m인데, 사고가 난 고가철도 하부 통과제한높이는 3.5m이기 때문이다. 작년 12월에도 같은 장소에서 똑같은 사고가 있었다. 해당 구간은 1·2차선은 역사 높이가 낮아 2층 버스는 3차선으로 진입해야 하는데 운전자의 착각으로 1차선으로 진입해 사고가 났다.
이에 따라 도와 김포시는 영등포구청, 영등포경찰서 등과 협의해 고가철로 하부 주행 구간이 없는 경로로 노선을 변경할 방침이다. 또, 관계기관 협의가 완료될 때까지 당산역 고가철로를 우회하는 경로로 운행할 수 있도록 긴급 조치하기로 했다.
노선변경과 함께 도는 2층 버스 전담 운전기사 배치를 정착시키는 한편, 10월중 도·시·버스조합 합동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교육내용은 2층버스 안전점검, 빗길ㆍ결빙지역 운행방법, 차량이상시 기본 조치방법, 사고사례 및 위험구간 전파 등이다. 이는 이번 사고 원인 가운데 하나가 버스 기사들이 2층 버스와 운행경로가 유사한 일반 버스노선을 번갈아 운전하면서 생기는 착각 때문이다.
이와 함께 도와 시, 버스조합 합동으로 운수사별 분야별 안전대책 준수사항 여부도 특별 점검한다. 이밖에도 긴급제동장치, 차선이탈경고장치 설치 등 차량 안전시설을 강화하고, 최대 90km로 설정돼 있는 최대속도제한 설정 준수 여부와 운행구간별 잠재 위험시설 점검도 추진하기로 했다.
장영근 경기도 교통국장은 “2층버스 충돌사고 재발돼 유감스럽다. 확실한 사고재발방지 대책을 추진해 도민들이 2층 버스를 좀더 안전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주요 내용>
○ 경기도 2층버스 안전운행 강화 대책
도입현황
○ 9월말 현재, 수원시 등 9개 시에서 20개 노
수웡3 성남 3 화성2 김포21 광주2 하남 3 남양주 6 파주 1 안산 2 합계 43
※ ‘18년 3월까지 100대 추가 운행 예정 ⇒ 총14개시 143대 운행
김포 2층버스 당산역 고가철로 하부 충돌 사고 재발
○ 사고 일시/장소 : ‘17. 9. 27(수) 10:20경 / 2호선 당산역 하부
○ 사고 내용 : 김포운수 8601A번(김포→서울시청) 고가철로 하부 충돌
○ 사고 원인 : 운전자(장○○,46세) 순간 부주의로 운행경로 이탈(14명 경상)
※ ‘16.12.3일 동일 충돌사고 발생 후, 노선분리 운행, 전담기사 운영 등 시행
2층버스 안전운행 강화 5대 대책 추진
❶ 당산역 하부 고가철로(통과높이제한 3.5m) 충돌 원천 차단 대책 마련
- 고가철로 하부 주행이 불가한 경로로 노선(1층・2층) 변경(김포시와 공동)
※ 영등포구청・영등포경찰서 협의 추진(더 아래쪽 교차로 이용/좌회전 신호 허용)
- 관계기관 협의 완료 전까지 2층버스 노선은 다소 우회하더라도 당산역고가철로 이외 교차로로 사전 우회하여 회피 운행 조치(김포운수)
❷ 전담 운전기사 운용 강화 및 합동 안전교육 실시
- 착각 등으로 인한 부주의 사고 방지 등을 위해 2층버스 전담기사 배치 강화
- 2층버스 전체 운전기사 대상 안전교육 실시(10월중, 도ㆍ시ㆍ운수사 합동)
❸ 차량 안전시설 및 안전관리 강화
- 긴급제동장치, 차선이탈경고장치 설치 등 차량 안전성 향상 지속 추진
- 최대속도제한 설정(80~90㎞) 준수 운영 및 운영상황 불시 점검
❹ 2층버스 운행 도로의 잠재 위험시설 및 운행노선 안전 점검
- 노선별 위험구간 점검 및 위험구간 DB화, 안전운행 경로 확정 후 운행
❺ 운수사별 분야별 안전대책 준수사항 특별 점검(10월중, 도ㆍ시ㆍ버스조합 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