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도, 공유재산 임대료 감면 연말까지 연장…연 29억원 감면 혜택 기대

○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한시적 감면 7월 종료에서 12월 말까지 5개월 연장
- 2월부터 7월까지 116건, 10억 원의 임대료 감면 혜택
- 이번 추가 조치로 소상공인 등 연간 155건, 29억 원 감면 혜택 기대


경기도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소상공인 임차인을 위해 공유재산 임대료 감면기간을 연말까지 연장해 시행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도는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도 소유의 공유재산을 사용 중인 임차인에게 5%의 요율을 1%로 감면했다. 이 기간 동안 116건, 10억 원의 임대료가 감면 됐다. 
도는 8월 이후에도 수도권의 확진자 발생 추세가 계속되는 등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임대료 감면 기간을 연말까지 5개월 추가 연장하기로 했다.
감면대상은 경기도박물관, 경기도의료원 등 도유재산을 빌려 식당, 매점, 카페 등을 운영 중인 임차인으로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받은 사실이 있으면 모두 감면혜택을 받을 수 있다. 운영을 중단했을 경우에는 감면방식도 선택 가능해 시설 사용 중단기간에 해당하는 임차료 전액을 감면받거나 시설 사용 중단기간만큼 임차기간을 연장받을 수도 있다. 
도는 이번 감면기간 연장 시행으로 연간 155건, 29억 원의 감면 혜택이 임차인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의 임대료 감면 연장이 소상공인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줄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참고1

 

공유재산 사용대부료 한시적감면 기간연장 주요사항

         

 재난 적용기간

 - (당초) 2020. 2. 1. ~  7. 31.(6개월)

 - (연장) 2020. 2. 1. ~ 12. 31(11개월)

 지원대상: 경기도 공유재산 사용·대부자

 - (연장) 2020. 2. 1. ~ 12. 31(11개월)

    - 주거용 등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없는 경우

    -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없는 시설의 부지활용(예: 주택의 진출입로·관로 등)

    - 금융기관,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주, 중계기

    - 변상금 부과 대상자(사용·대부자가 체납 중인 경우 지원 가능)

                                                             

지원기준

구 분

지원기준

법적근거

재난기간 중

사용한 자

요율 1% 일괄 적용

영 제14, 31

재난기간 중

사용하지 못한 자

1

사용하지 못한 기간의 사용료 100% 면제

법 제24, 34

사용하지 못한 기간만큼 기간연장

법 제21, 31

  

※ 재난기간 중 ‘사용하지 못한 자’의 의미

     - 행정기관의 시설 사용 중단 결정 등으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

     - 부득이 휴업할 수밖에 없는 사정으로 행정기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예) 사용자의 자가격리 또는 확진으로 사용하지 못한 기간에 대하여 재산관리관이 승인


환급 신청기간 : 2020. 8. 1. ~ 2025. 7. 31. (5)

  

참고2

 

공유재산 사용료·대부료 한시적 감면 실적 및 수요조사 결과

     

한시적 감면 실적(2020. 2. ~ 6.)

(단위 : , 천원)

재산관리관

건수

사용료

환급액

주요시설

56

984,891

401,221

 

문화종무과

5

352,892

170,709

경기도박물관 카페 등

북부청사

1

16,767

5,558

구내매점

물류항만과

35

365,512

126,337

평택항 마린센터 사무실 및 카페

인재개발원

1

38,373

14,311

구내식당

자산관리과

6

149,099

59,314

근린생활시설 부지 활용

하천과

8

62,248

24,992

근린생활시설 부지 활용

  2020. 6. 30. 기준 감면 실적 : 56, 41백만 원

 

한시적 감면 수요조사 결과(2020. 2. ~ 12.)

(단위 : , 천원)

재산관리관

건수

사용료

환급액

주요시설

2.1.~7.31

2.1~12.31

155

3,471,081

1,595,733

2,937,202

 

경기도소방학교

1

39,770

15,821

29,121

청사 매점

문화종무과

4

325,357

161,789

297,799

경기도박물관 카페 등

물류항만과

28

279,621

111,237

204,750

평택항 마린센터 사무실 및 카페

미래산업과

1

67,111

26,698

49,141

스타트업캠퍼스 카페

보건의료정책과

12

1,945,429

947,369

1,743,784

경기도의료원 매점 및 카페

북부청사

2

16,767

6,670

12,278

청사 매점 및 카페

예술정책과

1

27,000

10,741

19,770

경기아트센터 카페

인재개발원

2

91,183

41,526

76,435

인재개발원 매점 및 카페

일자리경제정책과

1

3,427

1,704

3,137

기술학교 매점

자산관리과

9

124,144

49,386

90,903

청사 매점, 화원 등

자원순환과

1

3,149

1,566

2,882

업사이클플라자 카페

체육과

3

65,132

27,104

49,889

사격테마파크 카페, 식당 등

평생교육과

9

115,203

46,559

85,699

도서관 매점 및 카페

도로정책과

46

33,778

13,437

24,734

식당, 사무실 부지활용

하천과

35

334,010

134,126

246,880

식당, 사무실 부지활용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연천군, 접경지역 AI 기반 그린바이오 미래 성장 전략 모색
경기도 연천군(군수 김덕현)은 지난 6월 27일 국립 통일교육원에서 개최된 『2025 지리학대회 접경지역 AI 특별 세션』에 참석하여 AI 기술을 활용한 접경지역 전략산업 및 지정학적 재편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특별 세션은 대한지리학회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AI·GIS·그린바이오·안보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접경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기조 발제를 통해, “연천군은 수도권에 위치하면서도 DMZ 천연자원을 비롯해 임진강·한탄강 등 풍부한 수자원과 드넓은 가용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AI 기반 정밀농업 실행과 그린바이오 산업육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천군은 현재 ▲자율주행 트랙터 및 농업용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실증사업, ▲국내 최초 위성 기반 정밀농업 시범사업, ▲연천 BIX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AI 기반 미래 전략산업(그린바이오)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연천군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및 DMZ 접경지역의 지리·생태적 강점을 바탕으로 AI 정밀농업 운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남북 농업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