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이학수)는 12월 6일(한국 시각) 오전, 솔로몬제도의 수도인 호니아라에서 솔로몬제도 정부와 2억 1,100만 달러(약 2,400억 원) 규모의 ‘솔로몬제도 티나강 수력발전사업’ 계약을 체결한다.
솔로몬제도는 호주와 파푸아뉴기니 인근의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국가다. 총인구는 약 61만 명이며, 2017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은 185개국 중 169위*다.
* 2017,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기준
솔로몬제도는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발전이 국가 전력생산의 97%를 차지해 발전 단가가 높고 전력망 등 기반시설이 부족하다. 전체 인구의 약 10% 정도만이 전기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19년 10월부터 2024년까지 호니아라 인근의 티나강에 저수용량 700만㎥ 규모의 발전용 댐과 15MW 규모의 수력발전소를 건설하고 향후 30년 동안 연간 85GWh의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다.
※ 티나강: 호니아라에서 남동쪽으로 19㎞ 떨어져 있으며 총길이는 약 20㎞
또한,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솔로몬제도의 발전용 경유 구매비용을 절감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솔로몬제도 전기 요금을 현재의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솔로몬제도의 일반 소비자 평균 전력요금은 64센트/kWh로, 우리나라 평균 전력요금과 비교해 무려 6배가 넘는 수준이다. 이는 태평양 지역평균인 40센트/kWh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 우리나라 소비자 평균 전력요금: 110.07원/kWh = 9.65센트/kWh (1,140.5원/USD 적용, 2017년 한국전력공사 전기요금 원가정보)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사업 시행 과정에서 약 1,200억 원대의 국내 건설 인력 및 기자재가 투입되고 국내와 솔로몬제도 현지에도 이 사업과 관련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사업은 탄소배출 감소와 신재생에너지 사용 등 친환경적 성격에 따라 녹색기후기금과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호주 등이 사업비를 지원하는 민관협력 사업*으로 추진된다.
※ 민관협력 사업(Public-Private Partnership):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여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사회기반시설을 확충·운영하는 사업을 의미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계약으로 솔로몬제도 수력발전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것”이라며, “한국수자원공사의 물관리 경험과 기술을 활용해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고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도록 국제협력을 더욱 강화 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솔로몬제도 티나강 수력발전사업 개요
1. 사업 개요
□ 총사업비 : 2억1천1백만USD (약 2,400억원)
*적용환율 1,140.5원/USD (‘18.10.31기준)
□ 재원조달
◦ 정부보조금 22% (4천5백만불 –녹색기후기금,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 정부차입금 73% (1억5천5백만불 – 녹색기후기금,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 등)
◦ 자본금 5% (1천백만불 - 한국수자원공사 등)
□ 시설용량 : 15MW (5MW × 3기), 연간발전량 85.7GWh
□ 사업방식 : BOOT (Build-Own-Operate-Transfer)
□ 사업기간 : 34.75년 (건설 4.75년, 운영관리 30년)
□ 사업지역 : 솔로몬제도 수도 호니아라市 남동쪽 20㎞ (티나강 유역)
□ 시설개요
◦ 댐 제원 : 높이 71.5m, 길이 219m, 저수용량 7백만㎥
◦ 도수터널 : 폭 3.5m, 높이 3.5m, 길이 3.245㎞
◦ 진입도로 : 폭 4.5 ~ 7.0m, 길이 21.73㎞ (기존도로 13.2㎞ 보수 포함)
2. 솔로몬제도 전력공급 현황
□ 전체 인구(약 616천명)의 약 10%, 수도 호니아라는 전체가구(약 70천명)의 50% 정도만 전력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음
3. 사업 기대효과
□ 전력공급원 대체(디젤발전→수력발전)를 통해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고, 전력요금 인하로 열악한 전력공급 환경개선 및 경제발전에 기여
□ 설계, 시공, 자재 분야 등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선도를 통한 국내 물산업 성장 견인 및 신규 일자리 150여개 창출
4. 사업 위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