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 | |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개요 |
< 전년 대비 달라진 점 >
▪ 평가체계 일원화 :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과 「공공데이터 제공 평가」의 평가편람, 대상기관, 평가시스템, 평가시기 등을 일원화하여 기관의 평가부담 완화 ▪ 평가대상 확대 : ‘21년 평가도입 이후, 처음으로 모든 행정·공공기관 유형 대상 평가(679개) ▪ 지표 통폐합 및 평가배점 조정 : 정책적 목표가 달성되어 평가 실효성이 낮거나, 피평가기관의 부담을 가중하는 유사‧중복 지표의 폐지 또는 통합 등 추진 |
영역 | 평가지표 |
분석‧활용 | ▴분석과제 발굴 실적, ▴분석과제 수행 실적, ▴분석결과의 정책활용 실적, ▴데이터기반행정 역량강화 노력 및 실적,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노력 및 실적 |
공유 | ▴공유데이터 등록이행률, ▴공유데이터 구축 로드맵 수립도, |
관리체계 | ▴추진기반 조성 |
□ 점검 결과 (요약)
구 분 (기관수) | 우수 등급 (293개) | 보통 등급 (87개) | 미흡 등급 (299개) |
중앙행정기관 (46) |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35개) | 해양경찰청, 문화체육관광부 등(8개) | 재외동포청, 보건복지부 등(3개) |
광역자치단체 (17) | 광주광역시,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등(13개) |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등(4개) | - |
공기업·준정부기관 (87)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생태원, 한국도로공사 등(74개) | 한국전력기술(주), 그랜드코리아레저(주) 등(7개) | 대한석탄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등(6개) |
시도교육청 (17) | 서울특별시교육청, 대구광역시교육청,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등(12개) | 대전광역시교육청, 경상북도 교육청(2개) | 충청남도교육청,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등(3개) |
지방공기업 (46) | 서울교통공사,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부산교통공사 등(16개) | 광주환경공단, 대구도시개발공사 등(6개) | 대전관광공사, 인천환경공단 등(24개) |
기타공공기관 (240)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컨텐츠진흥원 등(47개)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중소기업은행 등(24개) | 한국도로공사서비스(주), 충남대학교병원 등(169개) |
기초자치단체 (226) | 대전광역시 중구, 경기도 구리시, 경기도 시흥시 등(96개) | 서울특별시 용산구, 전라남도 무안군 등(36개) | 충청북도 영동군,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등(94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