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산림분야 연구개발(R&D) 사업 소개 자료 |
구 분 | 지정공모 | 자유공모 | 계 | |||
과제수 | 금액(억원) | 과제수 | 금액(억원) | 과제수 | 금액(억원) | |
신규과제 | 52 | 131.6 | 61 | 91.5 | 113 | 223.1 |
계속과제 | 22 | 98.4 | 15 | 43.5 | 37 | 141.9 |
계 | 74 | 230.0 | 76 | 135.0 | 150 | 365.0 |
* 2020년도 사업 기준 // 기평비(8.9억원) 미포함
| 본청 출연 연구개발사업 | 소속 연구기관 고유 연구개발사업 |
정의 |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여 과제를 | 소속연구기관(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이 소관 시험연구비로 직접 수행하는 사업 |
연구영역 | 응용 / 개발 연구 | 기초(원천) / 응용 연구 |
예산 비목 | 출연금 | 시험연구비 |
수행 주체 | 대학, 출연연, 산업계 등 민간 |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
성과물 | 논문, 특허, 매출액, 신기술 등 | 논문, 특허, 정책제안 보고서 등 |
성과 소유 | 연구수행기관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의3) | 국가 소유 |
참고 1 | | 산림청 R&D 예산 현황 |
연도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산림청 | 800 | 844 | 909 | 958 | 1,077 | 1,040 | 1,038 | 1,093 | 1,187 | 1,289 | 1,493 |
전년대비 증가율(%) | 4.0% | 5.5% | 7.7% | 5.4% | 12.4% | △3.4% | △0.2% | 5.3% | 8.6% | 8.6% | 15.8% |
□ 2021년 신규사업 반영 현황(정부안 기준) (단위 : 백만원)
구 분 | ’21년 신규사업 | 주요내용 |
합 계 | 24,035 | |
① 스마트 산림경영 | 5,615 | ・K-Forest 전략 지원을 위한 산림산업 활력 촉진 및 |
②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 | 5,284 | ・건강관리 인센티브 제도와 연계가능한 농림해양 치유자원(물질) 헬스케어 기술개발 |
③ 산림분야 재난·재해의 현안 | 3,677 | ・新산사태 방안 등 재난·재해에 대한 전략적 대응과 |
④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고효율 활용 | 2,250 |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활용 신재생에너지 개발로 ‘그린뉴딜’ 정책 지원 |
⑤ 농림위성 융합 지능형 산림특화정보 기반연구 | 2,400 | ・농림위성 활용 산림빅데이터(산악기상망, NFI 등)와 융합을 통한 산림특화정보(Forest IR : Forest Information Innovation Renaissance) 응용 생산기술로 신산업 생태계 조성 |
⑥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 1,400 | ・산림종자 특화 거점은행 운영 및 소재맞춤형 R&D 지원 |
⑦ 기후변화 대응 산림생물반응 연구시설 | 3,109 | ・인위적 조절을 통한 산림생태계 반응 측정·분석이 가능한 챔버구축(유리온실)으로 미래 기후변화 대비 맞춤형 산림자원 개량 및 산림관리 지표 개발 |
⑧ 열대·아열대 임업기술개발 | 300 | ・이탄지 복원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여 ・신남방 지역 바이오에너지 활용모델 개발로 지역사회 발전 기여 |
참고 2 | | 2020년 산림과학기술분야 주요 R&D 연구비 및 과제수 |
(단위 : 백만원)
구 분 | 세 부 사 업 | ’20년 예산 (백만원) | 과제 수 | |||
합계 | 신규 | 계속 | 종료 | |||
합 계 | 104,880 | 287 | 152 | 89 | 46 | |
본청 | 소계 | 37,408 | 150 | 113 | 20 | 17 |
▪Golden Seed 프로젝트 | 1,000 | 1 | - | 1 | - | |
▪산림생명자원 소재 발굴연구 | 3,901 | 22 | 22 | - | - | |
▪신기후체제 대응 연구 | 2,090 | 8 | 4 | - | 4 | |
▪산림융복합 전문인력 양성 | 4,534 | 7 | 4 | 3 | - | |
- 대학(원)생 창의도전 아이디어 연구지원 | | 30 | 30 | - | - | |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300 | 1 | - | 1 | - | |
▪미세먼지 국민 아이디어 R&D 사업 | 1,600 | 6 | - | 6 | - | |
▪차세대중형위성개발(농림위성) | 7,995 | - | - | - | - | |
▪임업기술연구개발('16일몰) | 1,270 | 2 | - | 1 | 1 | |
▪융복합기반 임산업의 신산업화 기술개발 | 4,644 | 20 | - | 8 | 12 | |
▪목재 자원의 고부가가치 첨단화 기술개발 | 4,894 | 23 | 23 | - | - | |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 사업 | 5,180 | 30 | 30 | - | - | |
국립산림 과학원 | 소계 | 30,845 | 105 | 22 | 57 | 26 |
산림과학연구 | 39,175 | 89 | 22 | 43 | 24 | |
산림분야 기후변화 대응연구 | 360 | 2 | - | 2 | - | |
기후영향 적응연구 | 6,193 | 7 | - | 5 | 2 | |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1,283 | 3 | - | 3 | - | |
미세먼지 대응 도시숲 연구 | 3,850 | 4 | - | 4 | - | |
국립 수목원 | 소계 | 16,611 | 32 | 17 | 12 | 3 |
산림생물종연구 | 13,448 | 25 | 17 | 5 | 3 | |
정원산업 기반 구축연구 | 3,163 | 7 | - | 7 | - |
참고 3 | | K-포레스트 비전 및 4대 뉴노멀 전략 |
| 비 전 | |
| | |
| | |
숲에서 찾는 새로운 일상 “숲으로 나아지는 살림살이! 숲과 함께 쓰는 새로운 미래!” |
연평균 2만 8천명 고용효과 | | 4차 산업혁명+임업 | | 생활권 산림교육・치유 참여 : (∼’25년) 연간30만명, (∼’30년) 연간50만명 |
< 4대 뉴노멀 전략, 16대 중점과제 >
4대 뉴노멀 전략 | | 중 점 과 제 |
| | |
디지털・비대면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 | | 산림데이터 활용을 위한 디지털 산림경영 기반구축 첨단기술을 접목한 산림복지서비스 접근성 향상 지능형 산림재해 관리로 촘촘한 안전망 구축 비대면 산림행정 및 산림서비스 확대 |
| | |
저성장 시대, 산림산업 활력 촉진 | | 친환경 시장 개척으로 임산업 활성화 도심권 숲을 활용한 생활 속 면역력 증진 숲을 활용한 바이오 생명산업・관광 등 신산업 지원 소외계층을 품는 공공일자리 및 산림형 사회적경제일자리 확대 |
| | |
임업인의 소득안전망 구축 | | 경제림육성단지 재편으로 경영구조 선진화 산림소득정책 발굴로 임업인 소득 보전 산림・임업분야 세제개편으로 산림경영 활성화 임업경영 임지의 적정 규모화 등 경영구조 개선 |
| | |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 | 산림의 탄소 흡수・감축 기능 증진으로 기후변화 대응 국제사회와 그린연대로 K-포레스트 확산 신(New)산림재해 대책으로 기후재난 피해 최소화 자연과 공존을 위한 산림생태 및 평화체계 구축 |
참고 4 | | ‘스마트 산림경영 혁신성장 기술개발’사업 추진배경 및 전략 |
추진 배경
❍ ’70년대 치산녹화 이후 산림관리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심는 정책에서 출발하여 가꾸고 누리는 정책으로 발전
’73~’87 | ’88~’97 | ’98~’07 | ’08~’17 | ’18~’37 | |
치산녹화 | 임업활성화 | 숲가꾸기 | 산림복지 | 사람중심・일자리 | |
심는 정책 | 소득증진 정책 | 가꾸는 정책 | 누리는 정책 | 자원순환 정책 |
❍ ‘산림자원 순환경제’의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발전과 산림관리를 동시에 이루어내야 할 시점
* 산림자원 순환경제 :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생산→유통→소비’의 선순환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산림과 지역사회의 지속성을 추구하는 경제구조
추진 전략
❍ (목적) 4차 산업혁명 견인기술 융복합을 통해 전통임업의 혁신 성장동력 창출 및 임가소득 향상
❍ (주요내용)
① 산림 빅데이터 활용 조성·육성 및 디지털 산림경영 기반 구축
② 숲가꾸기, 벌채 등 노동집약적 산림작업의 첨단화 기반 구축
③ 친환경 소재이자 먹거리인 목재·임산물의 유통·소비 촉진
사업 추진 체계
| |||||||
| 비전 | | 「KOREA FORESTRY 4.0」 스마트 산림융합 기술개발을 통한 산림분야 경영혁신 도약기반 구축 | | |||
| | | |||||
| |||||||
| |||||||
| 사업 목적 | | ∙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생산‧관리 고도화를 위한 지능화‧정밀화 구현 ∙ 원격조작‧자율주행형 임업기계 개발과 시스템 구성을 통한 자동화‧효율화 구현 ∙ 임가소득 향상을 위한 임산물의 품질관리 및 최적 유통·소비 체계 구축 | | |||
| |||||||
| |||||||
| |||||||
| 추진 단계 | | 1단계(2021~2022) | 2단계(2023~2025) | | ||
스마트 산림경영 응용기술 개발 및 확보 | 스마트 산림경영 응용기술의 고도화 및 산업화 기반조성 | ||||||
| |||||||
| |||||||
| |||||||
| 핵심 분야 및 세부 기술 | | 중점분야 | 세부개발기술 | | ||
산림경영 혁신 기술 개발 |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의 스마트화 및 산림경영 현대화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숲가꾸기 및 생산기술 첨단화 | ||||||
스마트산림 소득창출 기술 개발 | 임산물의 품질관리 및 최적 유통·소비 체계 구축 | ||||||
|
○ (산림경영)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의 스마트화 및 산림관리 현대화
- ICT·AI 기반 생육환경 최적제어 스마트팜·스마트양묘 운영기술 개발
- 모바일 및 ICT 기술을 접목한 정밀 산림데이터 수집・관리 기술 개발
- 드론 및 3D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산림자원 해석기술의 고도화
○ (산림작업) 빅데이터, IoT 등을 활용한 숲가꾸기 및 자원생산 시스템 첨단화
- 임업기계의 자동화·무인화 및 원격제어 시스템 개발
- 빅데이터를 활용한 작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 3D 스캐닝, VR/AR 기반 임목생산 및 수확 예측기술 개발
○ (소득창출) 스마트산림 소득창출 기술 개발
- 임업인 소득향상을 위해 임산물 이력관리, 품질인증 시스템 개발
참고 5-1 | |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R&D)’사업 기술·내역별 연계도 |
참고 5-2 | | ‘다부처특위 선정사업과 부처협의체 공동사업과의 연계 |
참고 6 | | ‘산림분야 재난·재해의 현안해결형 연구개발’사업 추진전략 |
추진 배경
❍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가 심화되는 가운데 산림 재난재해로 인한 국가적 피해 증가
* 산불 : (최근 10년) 440건, 857ha → (’18년) 496건, 894ha → (’19년) 653건, 3,255ha
* 산사태 : 연평균 강수량은 20세기 초반과 비교하여 약 19%(220㎜) 증가
* 산림병해충(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시·군(개소)) : (’16.4) 98 → (’17.4) 109 → (‘18.4) 117
❍ 산림 재난재해의 예방·대응 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국민의 쾌적하고 안전한 삶 도모를 위한 연구개발 시급
* 사업범위 : 산림분야 3대재해(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 및 산림동물 서식지관리
추진 내용
❍ 산림분야 3대 재해(산불, 산사태, 산림병해충)를 예방·대비하고 재난의 발생 시 신속 대응 및 사후 복구, 종합관리를 위한 단계별 4차산업혁명 견인기술 융복합 연구개발 추진
① (산불·산사태)
산불·산사태의 감시·모니터링[예방] / 예측 및 예·경보 시스템 구축[대비] / 신속 대응체계 구축[대응] / 복구·관리 의사결정 지원[복구]
② (산림병해충, 산림동물 서식지 관리)
고사목 탐지·모니터링[예찰] / 현장· 신속 확진기술 개발[진단] /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방제] / 산림동물 유형별 서식지 관리·조성 기술[서식지관리]
기대효과
❍ 국민이 체감하는 산림 재난·재해 예방·대비·대응·복구 체계 마련을 통해,
* 국민의 안전기본권 확보 및 삶의 질 개선의 공익가치 실현
* 국가 중요자산인 산림 생태계의 보전 및 사회경제적 비용 경감
사업 추진 체계
비전 | | 산림 재난재해 예방·대응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한 | ||||||||||||||||||||
| ||||||||||||||||||||||
목표 | | ① 산림 자연재해(산불·산사태)의 예방·대비·대응·복구 기술 개발 ② 산림병해충의 예찰·진단·방제 및 산림동물 서식지 관리 기술 개발 | ||||||||||||||||||||
| ||||||||||||||||||||||
추진 | | ◈ (전략방향 1) 산림재해 현안해결을 위한 실천지향적 사업기획 ◈ (전략방향 2) 산림 이해관계자 참여방식의 과제 발굴 및 추진 ◈ (전략방향 3) 기후변화 및 국내 산림특성 반영 맞춤형 기술개발 ◈ (전략방향 4) 목표지향형 추진방식 및 연구성과 활용도 제고 | ||||||||||||||||||||
| ||||||||||||||||||||||
| 중점 추진분야 | | ||||||||||||||||||||
| | |||||||||||||||||||||
| ||||||||||||||||||||||
| ||||||||||||||||||||||
기대효과 | | ◈ 국민이 체감하는 산림 재난·재해 대비체계 마련 → 문제해결·대응 수준 향상 ◈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 및 재산 피해 저감 → 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경감 |
참고 7 | | 2021년도 신규과제 선정 공고문 |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