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AI 허브', 세계가 주목하는 인공지능 산‧학‧연 집적 생태계로 키운다

2024.05.29 20:25:34

- AI 분야 국내·외 기업,교육,연구 협력 핵심 거점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29일(수) 개관
- ’17년 이후 AI 스타트업 육성·지원공간 7배 확대…360여개사 성장지원, 코스닥 상장사도 탄생
- 공군 AI신기술융합센터·KAIST AI대학원·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 협력기관 유치
- (가칭)AI 글로벌 연구 협력 센터 공간 조성으로 글로벌 연구기관-기업 간 협업 박차
- 오 시장 “전 세계 AI 인재와 기업, 자본이 서울로 모일 수 있도록 에너지·역량 쏟을 것”


□ 서울시는 인공지능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인 ‘서울 AI 허브’의 핵심 앵커시설이 5월 29일(수) 개관했다고 밝혔다. 양재·우면동 일대에 흩어져있는 AI 산업 지원 시설의 컨트롤타워이자, 카이스트 AI 대학원·공군 AI신기술 융합센터 등 국내·외 AI 산업의 산·학·연 역량을 한데 모아 인공지능 생태계 중심으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17년부터 AI 스타트업 육성기관을 조성해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입주·멤버십 기업으로 360여개 기업을 육성·지원하고, 기업매출 3,659억, 투자유치 3,694억 등의 성과를 거뒀다. 
  ○ 허브 소속기업이 CES에서 최고혁신상(2개)을 포함하여 16개의 혁신상을 수상하였으며, 졸업기업인 크라우드웍스는 국내 인공지능(AI) 학습 데이터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하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

□ 민간건물을 임차하여 AI 산업을 육성하는 방식으로 시작한 ‘서울 AI 허브’는 교육, 네트워킹, 기업투자유치 지원 등으로 기능이 확대되었으며, 이번에 개관하는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10,020㎡)을 포함해 지원 면적도 7배 이상(17년 1개 시설 4,000㎡ → 24년 5개 시설 28,233㎡) 확대되었다.
  ○ 이번에 신축한 앵커시설과 함께 기존의 스타트업 입주공간 제공, 국내·외 네트워킹 등의 역할을 하는 3개의 민간 임차시설, AI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시설인 AI교육센터(시 소유)를 모두 ‘서울 AI 허브’라고 명칭한다. 앵커시설에는 운영사무실과 협력기관이 입주하여 서울 AI 산업 육성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 서초구 태봉로 108(연면적 10,020㎡)에 들어선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은 서울시가 신축한 첫 번째 지원시설이다. 지하 1층~지상 7층 규모로, 협력기관과 기업 간 활발한 네트워킹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오픈형 라운지와 코워킹 공간을 층마다 배치했고, 교육공간․대·중규모 회의공간․기업 입주공간 등으로 조성됐다.
  ○ 1~2층은 로비, 카페, 오픈라운지, AI교육실로 구성되며 AI기업과 연구인력은 물론 시민들도 자유롭게 방문 가능하다.
  ○ 3~4층은 업무공간으로 AI스타트업과 협력기관이 입주하며, 180석 규모의 대규모 회의공간이 있어 AI 산업 관련 콘퍼런스 등을 진행할 수 있다.
  ○ 5~7층은 ‘카이스트 AI 대학원’이 이전‧입주 예정이다. 입주기업과 카이스트 연구원들이 편하게 소통 가능하도록 4~6층에는 층별 이동이 자유로운 커뮤니티 계단 등을 설치했다.

□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에서는 AI 기술 연구 협력 및 대·중견기업 연계 네트워킹을 확대할 협력기관과 기업 재직자 대상 교육 및 우수 인재 공급을 지원할 교육기관을 유치하여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확대, AI 기술 적용 융·복합 교육 확대 등 협력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 카이스트 AI대학원과 허브 기업의 연계로 우수 인력을 적시 공급함으로써 스타트업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인 인력난을 해소하고, 대학원 교수진의 기업 임직원 대상 교육·산학협력 연구 프로그램 등을 통해 기업가치 창출 및 확장을 지원한다.
  ○ 공군 AI신기술융합센터와 허브 기업의 방산 분야 진출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등 기술 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공군 R&D사업 추진 과정에 우수 스타트업 참여기회를 부여한다. AI 신기술(자율주행, 물류, 지능형 CCTV 등) 개발을 위한 군 시설 테스트베드(20비행단) 제공에도 협력한다.
  ○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와 협회가 보유한 대·중견기업 네트워크 활용으로 산업 분야별 수요기업과 입주기업 간의 협업 및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

□ 또한, 서울 AI 허브의 운영기관인 서울대학교 AI연구원 교수진 주도의 ‘(가칭)AI 글로벌 연구 협력 센터’ 공간 조성을 통해 국내 AI 연구자와 해외 연구기관 연구자가 연구 협력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올해 하반기부터는 저명한 해외 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을 초빙하여 허브 소속기업 및 국내 AI 연구인력들의 세미나 등 글로벌 연구 협력 거점을 마련한다.
  ○ 이를 위해, 딥러닝 분야 최고 권위기관인 캐나다 ‘밀라(MILA) AI 연구소’, 유럽 최대 인공지능 연구 컨소시엄인 독일 ‘사이버밸리(Cyber Valley)’, 캐나다 AI 연구 생태계 중심 컨소시엄인 ‘이바도(IVADO)’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AI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협력체계 조성을 가속화하고 있다.
  ○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도 AI 분야 국내 스타트업, 서울시민, 예비 창업가와 개발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허브 소속기업과의 기술 공유 및 네트워크 형성에 주력한다.

□ 성장기업 입주공간으로는 중규모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20명 내외가 업무 가능한 4개의 공간을 마련하였고, 현재 공개모집을 통해 3개의 기업을 선발해 입주하였으며 나머지 1개 기업도 공개모집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 성장기업을 선발하기 위해 입주조건을 해외 박람회 등 창업 활동 관련 수상 실적, 매출 실적 또는 투자유치 금액 규모 등을 기준으로 한다.
  ○ 공개 모집을 통해 웨이브라이프스타일테크, 네이션에이, 에임퓨처 기업이 선발되었으며, 특히 네이션에이와 에임퓨처는 각각 ’22.6월, ’21.3월 입주한 기업으로 허브의 기업 성장지원, 투자연계 등의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직원 규모, 투자 유치 등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 5월 29일(수) 14시 30분에는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개관식이 열렸다. 

□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서울시의회 김현기 의장, 이숙자 기획경제위원장, 전성수 서초구청장, 서울대학교 유홍림 총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승찬 원장,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장병탁 원장, KAIST AI대학원 정송 원장, 엔비디아 코리아 정소영 대표 등 산․학․연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개관을 축하했다.

□ 개관식 전·후로는 허브 소속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투자 유치 전략 등 관련 분야 전문가와 함께하는 ‘글로벌 AI 협력 세미나’, 20여개 투자기업을 초청해 허브 소속기업의 매칭 및 상담기회를 제공하는 ‘AI 스타트업 IR 피칭·데모데이’, 스타트업의 방산분야 진출을 확대 지원하기 위한 ‘공군 오픈이노베이션’, 야외공간에서는 개관식을 축하하기 위한 ‘공군 군악대 특별공연’을 진행한다.
  ○ ‘글로벌 AI 협력 세미나’는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지역별 유관기관 관계자를 초청하여 해외 진출에 대한 전략을 네트워킹하는 시간으로 이번 행사에는 북미(미국, 캐나다) 지역 투자 동향과 전략을 소개한다.
  ○ ‘AI 스타트업 IR 피칭·데모데이’에서는 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제품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고, 초청된 투자사와 매칭 지원을 통해 투자유치, 멘토링 등 후속 단계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 ‘공군 오픈이노베이션’은 허브 소속기업 대상 AI 신기술 기반 공군에서 필요로 하는 과제를 발표하고, 이에 맞는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매칭하여 후속 PoC 지원 등 방산 분야 진출을 지원한다.

□ 오세훈 시장은 개관사를 통해 “오늘날 AI 기술은 혁신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고, 서울시 행정도 올해를 '인공지능 대전환(AX)' 시대로 돌입하는 AI 행정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라며, “AI를 비롯한 첨단산업 기업의 기술력을 키워 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하여 전 세계 인재와 기업, 자본이 서울로 모일 수 있도록 서울 AI 허브 개관을 시작으로 인적·기술 교류 확대는 물론, 투자와 글로벌 판로 개척에서의 시너지를 얻어 서울이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매력적인 도시가 될 수 있게 에너지와 역량을 아낌없이 쏟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 서울 AI 허브 개관식 및 부대행사 개요

붙임1

 

서울 AI 허브 개관식 개요


□ 행사 개요
 ㅇ 일    시 : ’24. 5. 29.(수) 14:30~15:20 ㅇ 장    소 : 서울 AI 허브 (서초구 태봉로 108, 舊 품질시험소 별관 부지)
 ㅇ 참석대상 : 시장, 시의원, 국내·외 기업, 연구기관 등 100여명
   - 내부 인사 : 시장, 시의원 등
   - 외부 인사 :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정송 KAIST AI대학원 원장, 정소영 엔비디아 코리아 대표 등     

 ㅇ 주요 내용 : 개관사, 축사 및 인사말, 개관 세리머니, 시설 투어 등

진행 순서

구성

시 간

주 요 내 용

장 소

공식

행사

14:30~14:32

2

개회선언 및 내빈소개

1층 로비

14:32~14:35

3

입주 AI기업의 개관 축하 영상 상영

14:35~14:39

4

개 관 사

14:39~14:51

12

축사 및 운영사 인사말

14:51~14:55

4

개관 세리머니

14:55~14:58

3

행사관계자 전체 기념사진 촬영

14:58~15:00

2

행사 마무리

15:00~15:14

14

시설 투어

4층 전체

15:14~15:20

6

AI기업 부스 방문 및 환송

1층 야외공간

부대

행사

10:00~11:00

60

글로벌 AI 협력 세미나

4층 오픈형 라운지

11:10~14:00

170

AI 스타트업 IR 피칭·데모데이

4층 오픈형 라운지

14:10~14:30

20

공군 군악대 특별공연

1층 야외공간

15:30~16:30

60

공군 오픈이노베이션

1층 로비



붙임2

 

서울 AI 허브 개관식 부대행사 개요


① 글로벌 AI 협력 세미나
 ㅇ 시간/장소 : 10:00~11:00(60′) / 4층 오픈형 라운지
 ㅇ 참석대상 : 허브 입주기업(20개), VC·글로벌 투자 전략 관계자 등
     *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김태룡 차장, 토론토 투자청 캐서린 리 선임상무관(미국, 캐나다 실시간 화상 연결)
 ㅇ 주요 내용 : 미국 내 AI 스타트업 투자 동향, 캐나다 토론토 등 북미 VC로부터 투자유치 받는 전략 등 소개

② AI 스타트업 IR 피칭·데모데이
 ㅇ 시간/장소 : 11:00~14:00(180′), 15:25~15:45(20′) 2부로 진행/4층 오픈형 라운지
 ㅇ 참석대상 : 허브 입주기업(8개), VC(카카오벤처스, 스파크랩 등)
 ㅇ 주요 내용 : 기업의 보유기술·제품에 대한 피칭 대회(기업당 15′내외 발표)

③ 공군 오픈이노베이션
 ㅇ 시간/장소 : 15:30~16:30(60′) / 1층 로비 무대
 ㅇ 참석대상 : 허브 소속기업, 공군 정책실장 등 공군 관계자
 ㅇ 주요 내용 : 허브 스타트업 대상 AI 신기술 기반 공군 문제해결 희망 과제 발표
   - 수요 과제 (4건, 예비 1건)

연 번

제 목

수요과제

(문제해결 희망과제)

비 고

1

AI 기반 조류탐지 / 대응

비행기지 주변 조류활동 효과적인 식별 방안

조류활동에 대한 효과적인 전파·대응 방안

병력 감축

2

AI 기반 실시간 통역

실시간 통역시스템 핵심기술(AI 모델 등) 연구

AI 모델 개발(최적 알고리즘 선정) 및 학습 방안

임무 효율화

3

AI 학습데이터 자동생성

합성 / 증강기술을 통한 학습데이터 생성 방안

경계작전 분야 학습데이터 자동생성 모델 개발

AI 인프라

4

데이터 관리 자동화

학습데이터 자동 라벨링, 데이터 품질 시각화 방안

외부제공 민감/비공개 데이터 비식별화 자동화 방안

AI 인프라

5

(예비)

군수품 거래송증 디지털화

군수품 거래송증(종이) 및 담당자 인감 대체가

가능한 신뢰성 있는 기술 식별 및 적용 방안

임무 효율화



붙임3

 

서울 AI 허브 시설개요


□ 시설개요
 ㅇ 위    치 : 서초구 태봉로 108
 ㅇ 건립규모 : 지하 1층/지상 7층, 연면적 10,020㎡                          
 ㅇ 총사업비 : 35,769백만원
 ㅇ 주요시설 : AI 기업지원 및 교육‧연구‧협력의 혁신 거점
   - 기업 입주‧지원공간, 교육공간, 공동연구 등 다목적 네트워킹 공간 조성(1~4층) 
   - 교육기관 입주공간 : 카이스트 AI대학원(5~7층)
 ㅇ 층별 세부 현황

층 수

면 적()

주 요 시 설

10,020

 

지하 1

2,570

주차장 50, 기계·전기실, 방재실 등

지상 1

558

주차장 9, 로비, 관리사무소, 네트워킹을 위한 다목적 공간

지상 2

1,206

운영사무실, 교육공간, 오픈 라운지

지상 3

1,171

기업입주공간(2), 회의실(대규모, 중규모), 코워킹공간

지상 4

1,204

기업입주공간(2), 협력기관 입주공간(2), 오픈형 라운지 등

지상 5~7

3,311

KAIST AI대학원 입주공간


□ 입주 현황
 ㅇ 협력기관 : 3개 기관 (공군 AI신기술융합센터, KAIST AI대학원,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
 ㅇ 입주기업공간 : 4개 (중규모 이상 성장기업 3개 입주)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용두동 10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서울.아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최관선 | 대표이사: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