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고속도로 고라니 자주 출몰하는 이유는?” 동물찻길사고 자정~8시 가장 많아… 운전주의

  • 등록 2025.04.28 14:20:58
크게보기

최근 5년간 동물찻길사고 5~6월에 37.1%, 0~8시에 44.4% 발생
동물 발견 시 핸들 및 브레이크 급조작 삼가고, 충돌 시 안전한 곳에서 신고해야
10년간 동물찻길사고 69% 감소… 유도 울타리, 생태통로 AI 모니터링 등 노력

한국도로공사(사장 함진규)는 야생동물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시기인 5~6월 고속도로 운전 시 동물찻길사고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근 5년간(‘20~’24) 발생한 고속도로 동물찻길사고는 총 5,300건으로, 이 중 월별로는 5~6월(1,967건, 37.1%), 하루 중에는 자정(00시)~08시(2,351건, 44.4%)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동물찻길사고를 당하는 야생동물은 고라니(83.5%), 너구리(6.5%), 멧돼지(5.2%) 순이며, 고라니 관련 사고가 많은 이유는 상위 포식동물 부재로 개체수가 많고 봄이 되면 먹이활동 및 새끼 양육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동물찻길사고를 예방을 위해 운전자는 도로전광표지판(VMS)에 표출되는 주의 운전 문구 또는 야생동물 주의 표지판을 볼 경우, 철저한 전방주시와 규정 속도 준수 등 안전운전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운행 중 야생동물을 발견하면 핸들 및 브레이크의 급조작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경적을 울리며 통과하여 야생동물에게 음향으로 경고하고 주변의 운전자에게도 위험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야간 상향등은 동물의 돌발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동물과 충돌한 경우, ‘비트밖스’ 즉, 후속 차량과의 2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비상등을 켜고 트렁크를 열어 사고차량임을 알리고 가드레일 밖 등 안전한 장소로 우선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로 신고하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사고 수습이 가능하다.

한국도로공사는 동물찻길사고를 줄이기 위해 매년 50km의 유도 울타리를 설치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 고속도로에는 총 3,123km의 유도 울타리가 설치됐다.

또한, 전국 생태통로에 AI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24시간 야생동물 이동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훼손된 생태환경 복원과   야생동식물 서식지 마련을 위해 생태축 복원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 무선통신 카메라와 AI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빅데이터 자동 분석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동물찻길사고는 2015년 2,545건 이후 매년 감소해 2024년은 783건으로 69% 이상 줄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동물찻길사고는 2차사고에 의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고속도로 이용객의 안전과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예방시설 설치와 생태복원 사업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야생동물 유도 울타리


호남선 187.9k 육교형 생태통로


생태통로에서 포착된 고라니의 모습


생태통로 AI 모니터링을 통한 야생동물 자동 분석 시스템
백광훈 기자 bkh4814@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