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발달장애인 맞춤형 지원 강화… 생애 전반 아우르는 복지체계 구축

  • 등록 2025.03.25 13:34:27
크게보기

2025년 생애주기별 맞춤형 15개 사업 342억원 투입,‘역대 최대’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통합지원체계 구축
발달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사업 확대

전북특별자치도가 발달장애인의 권리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체계를 대폭 강화한다. 올해 총 342억 1,500만 원을 투입해 15개 사업을 추진하며, 발달장애인의 성장 단계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을 확대한다. 

이번 정책은 발달장애인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의 돌봄 부담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기반 돌봄체계를 확립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전 생애를 아우르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보호자가 안정적인 환경에서 돌봄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는 발달장애인의 연령별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해 촘촘한 복지망을 구축한다.

(유아기) 먼저 발달장애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전문 양육 기술 및 장애 이해 교육을 제공해 조기 개입 효과를 높이고, 부모의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청소년기) 청소년 발달장애인을 위한 방과 후 활동 서비스를 월 최대 66시간까지 지원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 사회성 증진을 도모한다.

(성인 전환기)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진로 상담, 자립 교육, 성 인권 교육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 성인기 준비를 돕는다.

(청장년기) 올해부터는 기존 65세 미만의 청장년기에만 지원되었던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의 연령 상한이 폐지*되어 서비스 대상이 확대될 전망이며, 도 추가 지원을 포함해 월 최대 142~166시간의 바우처 서비스를 제공한다.          * 18세 ~ 64세  → 18세 이상

(가족 지원) 전 생애에 걸친 지원으로 의사 결정 능력이 부족한  발달장애인을 위한 공공후견인 지원, 가족 휴식 지원(힐링캠프, 테마여행 등) 등을 통해 보호자의 심리적 부담을 덜고 정서적 안정을 돕는다. 올해에도 동부권역 수행기관(익산동산사회복지관) 및 서부권역 수행기관(김제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3월부터 참여자를 모집하여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과 재충전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발달장애인 가정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예측할 수 없는 돌봄 공백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북자치도는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및 긴급돌봄을 운영한다.

(통합돌봄) 자해·타해 등 도전적 행동으로 기존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발달장애인을 위해 24시간 맞춤형 돌봄(1:1 개별, 주간 그룹 등)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도내 10개 시군에서 19개 기관이 운영 중이다.



(긴급돌봄) 보호자의 입원·경조사 등 긴급상황 발생 시 단기돌봄(1회 입소 7일, 연 최대 30일)을 제공하며, 서비스 이용 전 ‘사전 등록’ 및 ‘사전체험’을 도입해 돌봄 대상자가 낯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발달장애인은 센터에 머무르는 동안 세면, 목욕 등 일상생활 지원과 취미활동, 산책, 건강, 식사, 야간돌봄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최중증 통합돌봄 서비스와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사업은 ‘23~’24년 신설된 사업으로 도내 발달장애인에게 만족도 높은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재이용률도 높아 발달장애인과 보호자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도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이 외에도 발달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 받고 싶다면, 전북특별자치도 발달장애인지원센터에 문의(☏ 714-2610)하여 교육, 직업재활, 문화‧복지 등 개인별지원계획 수립과 서비스 연계, 권익옹호, 공공후견지원 사업 등 발달장애인의 개별적 필요에 맞춘 서비스 지원과 정보를 센터에서 상담 및 연계 받을 수 있다.

한편, 전북자치도에는 14,315명의 발달장애인이 거주하며, 이는 도 전체 장애인 128,989명의 9%에 해당한다. 발달장애는 대부분 유아기부터 평생 지원이 필요한 중증 장애에 해당하기 때문에, 생애 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양수미 전북자치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발달장애인의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포용적 복지 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발달장애인지원센터 홍보부스


최중증통합돌봄 사업 설명회




활동사진
백광훈 기자 bkh4814@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최관선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