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올해 도내 봄배추 재배의향 면적 조사 결과, 지난해 배추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보다 5% 증가한 1,471ha로, 4월 중순 ~ 하순까지 영월, 평창 등 주요 산지 정식은 모두 완료되었으며, 생육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도내 고랭지 배추·무는 주 출하기(7월 중순~10월 상순) 전국 생산량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나, 최근 여름철 폭염, 병해충 발생 증가 등으로 매년 수급 불안과 생산량 감소로 인해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 고랭지 배추 상품 도매가격(‘24.7~10월) : 17,881원/10kg * 평년 11,958원 대비 49.5%↑
※ 고랭지 무 상품 도매가격(‘24.7~10월) : 22,203원/20kg * 평년 14,789원 대비 50.1%↑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5년 전국 고랭지 채소 재배전망에 따르면, 고랭지 배추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6.5% 감소한 3,503ha, 무는 2.7% 증가한 2,716ha 수준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는 기온 상승에 따른 재배 어려움과 연작에 따른 병해 발생, 농가 수익성 저하 등으로 재배 의향이 감소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석성균 강원특자치도 농정국장은“고랭지 배추·무 생산안정과 가격안정을 위해 다양한 수급안정 사업(5개 사업, 311억 원)을 적기에 추진하여, 어려운 영농 여건 속에서도 고랭지 채소 생산 농업인들의 안정적인 소득 보장과 소비자들이 적정 가격에 청정 강원 농산물을 소비할 수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 고랭지채소 지원 현황
1. 고랭지채소 생산 안정 지원(3개 사업 / 73억 원)
➊ 연작피해지역 토양미생물제제 등 지원(국비) : 연 2,250㏊(‘22~‘25년, 4년간)
- 사업비: 4,500백만원(국비 1,35030%, 도비 3157%, 시군비 1,26028%, 자부담 1,57535%)
- 사업내용: 토양개량제, 토양미생물제제, 토양유해미생물방제제 지원
➋ 고랭지채소 안정생산 지원(도비) : 4,000㏊
- 사업비: 2,560백만원(도비 38415%, 시군비 89635%, 자부담 1,28050%)
- 사업내용: 고랭지채소 주요 병해충(뿌리혹병 등) 방제약제 지원
➌ 고랭지채소 산지 유통기반 구축 지원(도비) : 11개소
- 사업비: 220백만원(도비 3315%, 시군비 7735%, 자부담 11050%)
- 사업내용: 고랭지채소 집하·출하시설 지원
2. 고랭지채소 가격 안정 지원(2개 사업 / 238억 원)
➊ 채소가격안정제(국비): 4품목
- 사업비: 21,874백만원(국비 6,56230%, 도비 3,28115%, 시군비 3,28115%, 자부담 8,75040%)
- 사업내용: 가격하락 → 가격차액, 가격상승 → 출하 장려금 지원 등
* 대상품목: 봄배추, 고랭지 배추·무, 가을배추
➋ 채소류 수급안정자금 조성(도비) : 8품목
- 사업비: 2,000백만원(도비 50025%, 시군비 50025%, 자부담 1,00050%)
- 사업내용: 가격하락 → 가격차액, 홍보(광고)·소비촉진행사, 조사연구 등
- ‘24년까지: (조성액) 19,532백만원, (집행액) 8,982, (적립액) 10,550
* 대상품목: 배추, 무, 토마토, 고추류, 오이, 호박, 브로콜리, 양배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