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부산엑스포 대비한 김해공항 장거리 노선 신설 필요

  • 등록 2022.10.19 06:45:49
크게보기

- 김해공항 장거리노선 없어…세계 각국 방문수요 대비 필요
- 민홍철 의원, “김해공항 중장거리 노선 확대로 제2관문공항 경쟁력 제고”


2030부산세계박람회(이하 엑스포) 유치가 국가사업으로 확정된 가운데 김해공항 유럽·미주 등 장거리 노선이 없어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의원(더불어민주당, 경남 김해갑)이 한국공항공사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김해공항 국제선 중 장거리노선(5,000km 이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2의 관문공항인 김해공항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을 기준으로 국제여객 분담률이 13.6%에 불과했다. 인근 제2공항 국제여객분담률은 ▲중국(푸동공항) 117.3%, ▲일본(간사이공항) 68.0%을 기록해 심각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2030부산엑스포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만약 부산 개최가 확정된다면, 김해공항 중장거리 노선 신설 및 확대로 세계 각국의 방문수요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

민홍철 의원은 “김해공항 중장거리 노선 신설 및 확대는 2030부산엑스포 대비뿐만 아니라 제2의 관문공항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김해공항 국제여객터미널 확장, 슬롯확충, 운수권 개설 및 확대 등 국토교통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외래관광객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은 서울 다음으로 경상권에 많이 방문한 것으로 조사돼 김해공항 국제선 성장잠재력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2019년 동북아 주요공항 제2공항 국제여객 분담률>

중국

일본

한국

북경공항

27,574,342

나리타공항

36,645,448

인천공항

70,578,050

푸동공항

32,336,802

간사이공항

24,932,015

김해공항

9,590,550

2공항

여객분담률

117.3%

2공항

여객분담률

68.0%

2공항

여객분담률

13.6%

             * 자료 :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실(한국공항공사, `2019 ACI WATR 재구성)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