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국민건강보험공단, 1인가구·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지원

  • 등록 2022.07.13 19:08:12
크게보기

- 건강검진(국민건강보험공단)+병원 동행(서울시) 협업… 7월부터 서비스 시행
- 건강검진 후 건강상담 및 교육, 모니터링 등 사후 건강관리까지 연계 지원
-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복지관 등)은 수시로 신청 가능, 동행서비스 지원


□ 서울시는 이달부터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서울강원지역본부)과 협업하여 건강관리에 취약한 1인가구 등의 건강증진을 위한 단체건강검진 병원 동행서비스를 지원한다.
 ○ 단체건강검진 병원 동행서비스는 1인가구 및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수검 희망자를 모집하여 단체(1회당 5~10명 이내)로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병원 동행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 ’20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의료급여수급권자*인 건강관리 취약계층의 수검률(32.3%)은 일반 건강보험가입자의 수검률(67.8%)에 비해 2배 이상 낮으며, 특히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도에 비해 약 6%p 정도 크게 낮아진 상황이다.

               * 의료급여법에 따른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만 19세부터 64세까지의 세대주 및 세대원

연도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의료급여수급권자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2018

317,949

133,301

41.9

19,593,149

15,076,899

76.9

2019

377,552

144,147

38.2

21,716,582

16,098,417

74.1

2020

384,190

124,281

32.3

21,446,226

14,544,995

67.8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2020 건강검진통계연보

□ 1인가구의 경우 ’21년 만성질환 유병률은 31.5%로 ’17년(21.3%)보다 10.2%p 증가했으며, 특히 노년 1인가구의 경우 10명 중 7명이 1개 이상의 만성질환 진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전 건강관리가 필요한 1인가구 등 건강관리 취약계층을 위해 서울시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양 기관이 손잡았다.

      ※ 출처 : 서울연구원, 서울지역 1인가구 실태조사(2021년)


□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사업 참여 기관(지역별 종합사회복지관, 복지 관련 협회·단체 등)을 발굴‧모집하여 해당 참여 기관에서 관리·지원하고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참여자를 모집하는 역할을 맡고, 서울시는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서비스’의 동행매니저(수검자 2~3명당 1명씩)를 무료로 파견하여 건강검진 수검을 지원한다.

 ○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지역별 종합사회복지관, 복지 관련 협회·단체 등)은 국민건강보험공단(☎02-2126-8903)에 신청이 가능하다.(평일 09시부터 18시까지, 주말·휴일은 불가)


 

<건강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추진체계>

 

 

 

사업 참여 기관

선정(복지관 등)

단체건강검진 대상자 발굴·선정, 검진기관 섭외

병원동행서비스
(무료 지원)

건강상담·교육, 사후 건강관리 등

공단

사업 참여 기관, 공단

서울시

공단, 서울시


○ 한편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는 지난해 11월에 시작하여 최근 누적 3,700여 명이 이용하는 등(’22. 7. 8. 기준) 높은 호응을 이어가고 있는 사업으로, 병원 이용 과정에 동행이 필요한 1인가구 또는 다인가구 누구나 신청(☎1533-1179)할 수 있다. 시간당 이용료는 5천 원으로, 중위소득 85% 이하의 시민(’22년에는 한시적으로 중위소득 100% 시민까지)은 무료다.


 □ 아울러 서울시는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를 지원한 후에도 공단과 함께 기존 건강관리 사업과 연계해 1인가구 및 건강관리 취약계층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 서울시에서는 방문 건강관리 사업,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지원사업 등과 연계한 건강관리 및 모니터링 등을 시행하고, 공단에서는 인근 의료기관 및 사업 참여 기관과 연계하여 단체건강검진 종료 후 ‘희망나눔’ 건강강좌, 건강관리 상담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 안수민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장은 “서울시민을 위한 ‘1인가구 병원 동행안심서비스’ 사업을 바탕으로 서울시와 공단이 협업하여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를 추진하게 되었다. 그동안 건강검진을 받고 싶어도 혼자 갈 수 없었던 의료 사각지대의 취약계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 서비스에 많은 시민이 참여하여 건강검진을 받고 질병의 사전 예방 및 건강관리로 건강수명이 향상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이해선 1인가구 특별대책추진단장은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는 건강관리에 취약한 시민이 걱정 없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 1인가구 및 취약계층의 건강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발굴하여 1인가구 시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사업개요 1부.2.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현장 사진 각 1부.


붙임 1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사업개요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ㅇ 기    간 : ’22. 7~12월

 ㅇ 사업대상 : 병원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건강관리 취약계층 시민

 ㅇ 사업내용 :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을 위한 병원동행 무료지원(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와 협업)

 ㅇ 주요역할

   - [공  단] 사업 참여기관* 선정(대상자 발굴, 검진기관 예약 등), 건강상담·교육

                 * 사업 참여기관 : 지역별 종합사회복지관, 복지 관련 협회·단체 등

   - [서울시] 병원동행서비스 지원(2~3명당 1명, 사전예약), 이용료 무료, 사후관리 

ㅇ 진행절차


 

<건강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추진체계>

 

 

 

사업 참여기관

선정(복지관 등)

단체건강검진 대상자 발굴·선정, 검진기관 섭외

병원동행서비스
(무료 지원)

건강상담·교육, 사후 건강관리 등

공단

사업 참여 기관, 공단

서울시

공단, 서울시


붙임 2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현장 사진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현장 사진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