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돕는 붉가시나무, 알고 보니 ‘산소 공장’

  • 등록 2020.02.25 12:13:06
크게보기

국립산림과학원, 붉가시나무 1ha에서 연간 50명분 산소의 발생 확인-



□ 붉가시나무(Quercus acuta)는 위도상 난아열대 지역인 전라남도, 제주도 등지 남해안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표고 약 170∼500m에서 군락지를 이루는 난대상록성 참나무류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반도 남부 및 중부지역까지 점차 생육지가 북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원장 전범권)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산림자원의 기능성 유용 소재 발굴 및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붉가시나무의 특성을 연구해 온 결과, 연구소에서 조림한 붉가시나무(40년생) 군락지 1ha의 연간 산소발생량이 12.9톤으로 측정되었다고 밝혔다.

 ○ 이는 성인 1명이 1년간 호흡에 사용하는 산소량이 257kg임을 감안할 때 50인이 호흡할 수 있는 양이며, 우리나라 주요 산림수종인 소나무 군락지 1ha에서 발생하는 산소량인 5.9톤보다 2배 이상 되는 양이다. 


 ○ 또한, 경남, 전남, 제주 등 한반도에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붉가시나무 군락지의 면적은 총 1,824ha로, 이곳에서 발생하는 산소는 성인 약 91,000명이 1년간 숨 쉴 수 있는 충분한 양이다. 

□ 한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붉가시나무의 도토리가 항산화 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의 총 함량이 동일 가시나무속 다른 나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밝혀내고 건강 보조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 페놀성 화합물의 총 함량(gallic acid 기준) : 붉가시나무 75∼80mg/g, 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졸가시나무 등 30∼60mg/g

  ○ 올해부터 특히, 붉가시나무 외에도 가시나무속의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 총 6개 수종에서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 개발과 유용성분 추적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난대상록수의 생육지 북상은 기후변화 시대에 이미 예견된 사실로, 해당 수종에 대한 증식, 육성 및 관리 연구를 통해 환경의 위기에 빠르게 대응할 것”이라며, “유용한 산림자원을 활용해 우리 임업인의 소득증대에 도움이 되는 실용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붙임자료] 임목부피(재적)의 탄소 및 산소계정 절차

 - 임목부피 또는 생장량(㎥)에 탄소흡수계수인 목재기본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뿌리함량비를 차례로 곱     하면, 임목의 건중량(무게)인 바이오매스량이 된다.

 - 전환된 바이오매스량에 탄소전환계수 0.5를 곱하면 탄소저장량(흡수량)이 되며, 수목이 광합성을 이루는    분 자식에 의하여 여기에 44/12를 곱하면 이산화탄소저장량(흡수량)이 된다.

 - 또한 같은 분자식에 따라, 탄소저장량에 32/12를 곱하면 산소량이 된다.


 

(※ 붉가시나무 목재기본밀도: 0.833,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1.467, 뿌리함량비: 0.214)


< 계산과정 >

 - 붉가시나무 연간생장량(6.5m3/ha) x 목재기본밀도(0.833) x 바이오매스확장계수(1.467) x 뿌리함량비(1+0.214) x 탄소전환계수(0.5) = 4.82tC/ha/yr (탄소흡수량)

 -  탄소흡수량(4.82tC/ha/yr) x 산소전환계수(32/12) = 12.85tO2/ha/yr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