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신도시 주민 66.9% 리모델링 동의, 57.5% 비용부담 부정적… 맞춤형 리모델링 정책 필요

  • 등록 2019.12.22 10:45:21
크게보기

○ 2021년 이후 1기 신도시 준공 30년 도래…시설 노후화 등 주택재건축사업 대상
○ 1기 신도시 자가 거주자 405세대 방문면접조사 결과 ‘맞춤형 리모델링’ 선호
○ 주차시설 확충, 공공지원 방안 검토 등 필요


준공 후 30년이 가까워지고 있는 1기 신도시 주민 대다수는 리모델링에 동의하지만, 비용부담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보다는 주민이 필요로 하는 시설을 개선하는 수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22일, 1기 신도시 주민의식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1기 신도시 리모델링이 필요한가?> 보고서를 발간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1기 신도시(분당, 평촌, 산본, 일산, 중동)는 2021년 이후 준공 30년에 도달하여 시설 노후화 등으로 주택재건축사업 대상이 될 수 있다. 계획 당시 1기 신도시의 인구수는 116.5만 명이었으나, 세대 당 가구원수 감소 등에 따라 2005년에 비해 2018년 평균 10.3%의 인구가 감소했다.
2001년 건축법시행령 개정으로 ‘리모델링’ 용어가 등장했고, 2012년부터 리모델링 사업에 세대구분형 아파트가 가능한 상황에서 경기도 내 성남, 안양, 수원 등 일부 지역에서 리모델링 사업이 추진 중이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여, 1기 신도시 내 리모델링 대상 공동주택 자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지난 10월 17일부터 11월 6일까지 총 405세대의 방문면접조사 결과(신뢰도 95%, 오차범위 ±4.9%)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 자가 거주자 66.9%가 리모델링 사업 추진에 동의하고 있으며, ‘노후 아파트 성능개선’(76.0%)을 주요 찬성 이유로 밝혔다. 하지만 사업유형에 대한 질문에는 리모델링(37.8%)보다는 재건축(62.2%)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리모델링을 선호하는 응답자 39.2%는 ‘비용절감 및 친환경’을 이유로, 다음으로는 ‘사업기간 단축’(30.1%), ‘낮은 진입장벽’(25.5%)을 꼽았다.
1기 신도시 주민은 주거환경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나 주차, 상하수도 부식, 세대 간 층간소음, 커뮤니티 시설에 대해서는 개선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 특히, 주차 공간 확보(61.0%), 차량진입 및 주차동선 개선(53.6%) 등 주차환경 개선 요구가 크게 나타났다.
리모델링 유형에 대해서는 세대수 증가 없이 노후 배관 교체, 방 수 추가 등 불편 사례별로 추진하는 ‘맞춤형 리모델링’에 대한 선호도가 60.1%로 나타났다. 전용면적 및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 설비교체와 내․외부 마감 개선 등 노후 시설 개선에 초점을 맞춘 ‘수선형 리모델링’은 각각 19.9%의 선호도를 보였다. 
맞춤형과 증가형 리모델링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거주자 67.3%는 면적 확장을 희망한 반면, 세대 구분을 희망하는 응답률은 19.8%에 불과하여 소형 평형 주민의 면적 확장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리모델링 시 사업비 일부를 부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42.5%로 절반이 넘지 않으며, 부담금은 1억원 미만(47.9%), 없음(40.7%) 순으로 나타나 리모델링에 따른 비용 부담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수행한 장윤배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기 신도시 리모델링 추진 시 주민불편이 가장 큰 주차시설 확충이 필요하며, 리모델링을 통해 공용주차장 제공 등 공공성을 확보하면 융자나 보조 등 공공지원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며, 추가 지원으로 ▲에너지 관련 설비 설치비용 ▲아파트 공용급수관 교체 ▲리모델링 사업비 조달을 위한 금융프로그램 개발 ▲연립주택 단지 등 비아파트에 대한 리모델링을 꼽았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또한 “리모델링 추진 시 리모델링 자문단을 구성하고 주민 공모를 통해 사업 대상을 설정해야 하며,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토대로 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참고자료]

 

 

1기 신도시 내 자가 거주자 대상 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1기 신도시 계획 현황>

구분

분당

일산

산본

중동

평촌

합계

면적(ha)

1,963.9

1,573.6

420.3

545.2

510.6

5,013.60

계획인구

390,320

276,000

167,896

165,740

165,188

1,165,144

세대수

97,580

69,000

41,974

41,435

42,047

292,036

단지수

136

134

41

49

54

414

인구밀도(/ha)

199

175

399

304

329

-

호수밀도(/ha)

50

44

100

76

82

-

최초입주

‘91.9

‘92.8

‘92.4

‘93.2

‘92.3

-

자료 : 경기개발연구원(2011), 1기 신도시의 도시재생과 관리방안 연구 참조 재작성.



<경기도내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추진단지 위치 및 개요>


                         자료 : 경기연구원(2014), 경기도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 추진방안 .

< 리모델링 사업 추진 찬성 이유(1기 신도시 종합) >

< 리모델링 사업 선호 이유(1기 신도시 종합) >

                              자료 : 경기연구원

< 아파트 단지에 대한 만족도(1기 신도시 종합) >

      자료 : 경기연구원

< 면적확장 및 세대구분 희망 여부(1기 신도시 종합) >


맞춤형 및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자에 국한해 질문

  자료 : 경기연구원

< 사업비 부담 의향 및 실부담금 적합 수준(1기 신도시 종합) >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