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11월 13일 14시부터 4대강 보 구간의 하상변화 및 퇴적물, 구조물 안전성 등 객관적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금강, 영산강, 낙동강 하류 7개의 보에 대한 개방과정을 진행 중이다.
ㅇ 영산강 죽산보는 목표 개방수위 EL. 1.5m(관리수위 대비 2.0m↓)에 지난 23일 도달하여 하한수위로 개방상태를 유지 중에 있다.
ㅇ 낙동강 합천창녕보‧금강 세종보도 시나리오에 따라 28일 현재 각각 EL. 8.3m, EL. 9.9m 수준(관리수위 대비 2.2m↓, 1.9m↓)에서 주변 영향 등을 관찰하며 단계별로 수위 하강을 진행 중이다.
※ 당초 계획대로 합천창녕보는 11월 30일부터, 세종보는 취수장 임시대책 후 2018년 1월 중순부터 다음 수위저하 단계 착수 예정
ㅇ 하천 주변 시설재배가 많은 낙동강 창녕함안보‧금강 백제보‧영산강 승촌보는 지하수 이용상황 등에 대한 보다 면밀한 관찰을 위해 수위저하 단계를 더욱 세분화*하여 수문을 운영하고 있다.
* 당초 단계별로 40~50cm 수위저하 → 단계별로 20cm 저하 방식으로 변경하여 29일 14시부터 2단계 수위저하 착수
ㅇ 나머지 금강 공주보의 경우 당초 계획대로 취수장 임시대책을 완료 후 2018년 1월 중순부터 수문 개방에 착수할 예정이다.
□ 정부는 지역별 현장대응팀을 통하여 주민 불편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방상황 관리를 철저히 해나가면서, 4대강 보에 대한 객관적 자료확보를 위한 정밀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