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수지 1위·수출 2위 탈환

  • 등록 2025.02.03 07:56:10
크게보기

- 지난해 충남 수출 926억 달러…2023년에 비해 16.6% 급증 -
- 무역수지 514억 6100만$ 흑자…‘대한민국 경제의 힘’ 우뚝 -


  힘쎈충남이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와 수출 전국 2위 자리를 되찾았다.

  글로벌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거둔 성과로,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고 있는 충남의 힘을 재확인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의 지난해 수출액은 총 926억 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1614억 4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이자, 2023년 793억 9300만 달러에 비해 16.6% 증가한 규모다.

  충남은 2023년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화물선 호황 수혜를 입은 울산에 수출 2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나 2024년에는 반도체 호황과 정보통신(IT)·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의 호실적, 충남 1호 영업사원인 김태흠 지사를 중심으로 한 도의 공격적인 해외 마케팅 지원 등에 힘입어 2위를 회복할 수 있었다.

< 충남 수출입 및 무역수지 >

(단위: 억달러, % / 누계)

지역

2023

2024

수출

수입

수지

수출

수입

수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전국

6,322

-7.5

6,426

-12.1

-103

6,837

8.1

6,321

-1.6

516

충남

794

-26.1

408

-19.7

386

926

16.6

411

0.8

515


< 2024년 지자체 수출입 및 무역수지 순위 >

(단위: 백만달러,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 / 누계)

순위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지자체명

수출액

증감률

지자체명

수입액

증감률

지자체명

수지액

 

전국

683,692

8.1

전국

632,100

-1.6

전국

51,592

1

경기

161,440

24.4

서울

189,427

-4.9

충남

51,461

2

충남

92,601

16.6

경기

155,889

1.9

울산

40,990

3

울산

88,121

0.9

인천

63,780

5.6

경북

22,233

4

서울

68,395

3.1

울산

47,132

4.6

경남

22,114

5

인천

59,546

10.7

충남

41,139

0.8

충북

19,471

6

경남

46,377

10.6

전남

40,526

-1.9

광주

7,841

7

전남

45,564

0.3

경남

24,262

-6.3

경기

5,551

8

경북

40,331

-1.8

경북

18,098

-13.5

전남

5,038

9

충북

26,708

-4.1

부산

15,261

2.0

대구

3,104

10

광주

15,553

-12.2

광주

7,712

8.2

전북

908

자료: 한국무역협회(stat.kita.net)


 품목별 수출액을 보면, 메모리반도체가 341억 6900만 달러로 전년보다 65.1% 증가하며 수출 상승을 견인했다.

  신규 스마트폰 출시, 인공지능(AI) 서버 신규 투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사상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메모리반도체에 이어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100억 4400만 달러 △전산기록매체 76억 7600만 달러 △프로세서와 콘트롤러 56억 1200만 달러 △경유 35억 6300만 달러 △집적회로반도체 28억 8800만 달러 △제트유 18억 500만 달러 △자동차부품 17억 7700만 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전산기록매체는 전년 대비 80.8%, 제트유는 15.3% 증가했다.

  OLED의 경우는 전년 대비 9.3% 감소했으나, 이는 전년 호실적에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되고 있다.

  앞으로는 고부가가치 OLED 신규 채택 확대, AI 탑재 IT 기기 교체 수요 등으로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국가별로는 베트남이 172억 8000만 달러로 1위, 중국은 170억 6200만 달러로 2위를 기록했다.

  베트남과 중국은 전년 대비 수출액이 1.9%와 0.6% 각각 감소했다.

  베트남·중국에 이어서는 △홍콩 158억 800만 달러 △미국 116억 1400만 달러 △대만 83억 300만 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수입액은 411억 3900만 달러로 2023년 408억 2100만 달러보다 0.8% 늘었다.

  주요 수입 품목 중 원유·유연탄·LNG 등 에너지 품목의 경우 가격 안정으로 수입 중량이 수입액 증가폭보다 크게 나타나 긍정적으로 분석되고 있다.

  무역수지 흑자액은 514억 6100만 달러로 전국(515억 9200만 달러)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며 다시 대한민국 1위에 올랐다.

  충남은 2023년 무역수지 흑자액이 385억 7200만 달러로, 울산(423억 1500만 달러)에 뒤지며 1위 자리를 잠시 내줬다.
  도 관계자는 “올해 세계 경제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달 출범한 트럼프 2기의 보호무역주의가 본격화되면 통상 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하면서도 “해외사무소와 통상자문관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수출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지난해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사무소 운영 △해외시장 개척단 가동 △내수 기업 수출 기업화 지원 △충남형 해외 바이어 발굴 매칭 지원 △해외 전시 박람회 참가 지원 등 21개 사업을 시행한 바 있다.



  사진 설명 : 충남도는 미국과 중국, 베트남 등 7개국에 수출과 외자유치 확대 등을 위한 전진기지인 해외사무소를 설치해 가동 중이다. 사진은 지난달 14일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김태흠 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연 미국사무소 개소식 모습.


붙임

 

연도별 수출입 현황 (2024. 12월 기준)


(단위 : 백만$,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 / 당월)

연월

충 남

전 국

수 출

수 입

수 지

수 출

수 입

수 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2024

92,601

16.6

41,139

0.8

51,462

683,692

8.1

632,100

-1.6

51,592

12

9,367

20.4

3,302

-5.7

6,065

61,369

6.6

54,877

3.3

6,492

11

7,824

12.3

3,302

-9.0

4,522

56,303

1.3

50,719

-2.5

5,584

10

7,223

7.9

3,190

-6.9

4,033

57,508

4.6

54,334

1.7

3,174

9

8,766

28.1

3,418

13.4

5,348

58,551

7.1

52,120

2.3

6,431

8

7,944

21.1

3,734

31.7

4,210

57,645

10.9

54,053

6.0

3,592

7

7,659

21.4

3,458

24.6

4,201

57,461

13.9

53,851

10.5

3,610

6

8,459

11.6

3,658

9.5

4,801

57,343

5.6

49,086

-7.5

8,257

5

7,562

22.1

3,349

-7.3

4,213

58,018

11.5

53,146

-2.0

4,872

4

6,815

18.4

3,759

13.5

3,056

56,151

13.6

54,814

5.5

1,337

3

7,880

6.4

3,281

-17.3

4,599

56,519

3.0

52,415

-12.1

4,104

2

6,785

18.1

3,254

-12.3

3,531

52,099

4.2

48,211

-12.9

3,888

1

6,318

13.7

3,433

-7.1

2,885

54,727

18.1

54,474

-7.7

253

2023

79,393

-26.1

40,821

-19.7

38,572

632,226

-7.5

642,572

-12.1

-10,346

12

7,777

8.4

3,502

-11.7

4,275

57,573

5.0

53,123

-10.9

4,450

11

6,968

-6.3

3,629

-5.9

3,339

55,561

7.3

51,998

-11.6

3,563

10

6,695

-21.2

3,427

-12.9

3,268

54,990

4.9

53,441

-9.7

1,549

9

6,842

-26.8

3,015

-21.3

3,827

54,651

-4.4

50,973

-16.5

3,678

8

6,561

-28.3

2,836

-42.6

3,725

51,994

-8.1

51,010

-22.7

984

7

6,310

-26.8

2,776

-46.2

3,534

50,458

-16.2

48,738

-25.3

1,720

6

7,581

-18.3

3,340

-31.3

4,241

54,298

-5.9

53,055

-11.8

1,243

5

6,195

-35.3

3,611

-13.0

2,584

52,054

-15.5

54,251

-14.1

-2,197

4

5,755

-39.2

3,312

-19.2

2,443

49,431

-14.5

51,940

-13.7

-2,509

3

7,409

-31.8

3,967

-7.4

3,442

54,882

-14.0

59,636

-6.5

-4,754

2

5,742

-35.4

3,711

-4.2

2,031

49,995

-7.7

55,370

3.5

-5,375

1

5,557

-39.5

3,695

-5.0

1,862

46,339

-16.4

59,037

-2.6

-12,698

2022

107,495

3.2

50,849

36.5

56,646

683,585

6.1

731,370

18.9

-47,785

2021

104,120

30.8

37,246

40.8

66,874

644,400

25.7

615,093

31.5

29,307

2020

79,572

-0.5

26,447

-23.8

53,125

512,498

-5.5

467,633

-7.1

44,865

2019

79,951

-13.1

34,721

-10.2

45,230

542,233

-10.4

503,343

-6.0

38,890

2018

91,968

15.2

38,647

26.7

53,321

604,860

5.4

535,202

11.9

69,658

2017

79,842

20.6

30,498

35.8

49,344

573,694

15.8

478,478

17.8

95,216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최관선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