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국가중요어업유산 3개소 지정

  • 등록 2024.11.30 11:33:55
크게보기

- 강릉창경바리어업, 광천토굴새우젓가공업, 삼천포죽방렴어업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11월 29일(금) 강릉창경바리어업(강원 강릉시), ‘광천토굴새우젓가공업(충남 홍성군), 삼천포죽방렴어업(경남 사천시)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4호, 제15호, 제16호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그동안 어업인이 지역의 환경・사회・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 온 유・무형 어업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는 어업유산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해 왔다. 2015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호 ’제주해녀어업‘을 시작으로 지난해 제13호 ’진도・신안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까지 총 13개의 국가중요어업유산이 지정되었다.

  특히, 2023년에는 제7호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23.7)과 제1호 ’제주해녀어업‘(‘23.11)이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어업유산으로 등재되어 우리나라 국가중요어업유산이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쾌거를 이뤘다. 

  이번에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된 제14호 ‘강릉창경바리어업’은 ‘창경(窓鏡)’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수중에서 맑은 시야를 확보하여 해조류 및 저서생물 등을 채취하는 어업이다. 제15호 ‘광천토굴새우젓가공업’은 자체적으로 수분을 생성하는 풍화암 재질로 이루어진 친환경 토굴에서 새우젓을 숙성・발효시키는 가공업이다. 제16호 ‘삼천포죽방렴어업’은 연안의 좁은 물목에 대나무로 만든 ‘V’자형 발을 설치해 물살의 힘에 실려 오는 물고기를 통 안에 가두어 잡는 전통적인 어업방식이다. 

  해양수산부는 제14호, 제15호, 제16호 국가중요어업 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앞으로 3년간 어업유산의 복원과 계승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전통 어업문화 보전, 어업인 소득 증대, 어촌관광객 증가, 지역브랜드 가치 향상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어업과 관련된 유・무형 자산들을 적극 발굴하여 사라져가는 전통어업을 보전해 나가는 한편,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어업유산 등재도 적극 추진하여 활력있는 어촌을 가꾸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 1

 

       광천토굴새우젓 가공업


유산 명칭

충남 홍성군 광천 광천토굴새우젓 가공업

위 치

충남 홍성군 광천읍 일원

면 적

47ha

개요

친환경 토굴을 활용한 탄소제로 광천토굴새우젓 숙성·발효 제조

특징

연한 풍화암 재질로 자체적으로 수분을 생성하는 토굴에서 새우젓을 숙성·발효 제조하여 광천토굴새우젓 생산

온도 14~15, 습도 85%가 유지되는 토굴 환경에서 염도 25%2~3개월 숙성기간을 거쳐 광천토굴새우젓 제조

광천읍 옹암마을에는 길이 100~200m 규모의 40개 토굴과 107개 새우젓 제조·판매 업체가 집중되어 독특한 내륙형 어촌문화 형성



젓새우 어획 어선

젓새우 위판장



광천토굴새우젓 숙성·발효 제조 과정


참고 2

 

          강릉창경바리 어업


유산 명칭

강릉 창경바리어업

위 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심곡 해역 일원

면 적

424.7ha

개요

강릉 지역의 고유한 전통 어업으로 창경도구를 이용해 해조류 및 저서생물 등을 채취하는 어업

특징

 

떼배 또는 전마선을 타고 창경과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 미역 등 수산생물을 채취하는 친환경 어법으로 창경(窓鏡)유리창으로 거울처럼 물 속을 본다는 의미로 일반적인 형태는 아래쪽은 유리, 위쪽은 뚫려있는 사다리꼴 모양이나 사용자에 따라 형태와 규격이 달라짐

창경바리 어업은 강원지역에서 1970년대까지 성행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강릉시 강동면 일대에서만 집단으로 전통방식의 명맥을 유지하며, 여전히 생계유지 수단으로 큰 역할을 하고 있음



떼배를 이용한 창경바리어업

전마선을 이용한 창경바리어업



심곡어촌체험휴양마을 창경바리 체험 프로그램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창경바리어업 주조업구역)


참고 3

 

        삼천포 죽방렴어업


유산 명칭

경남 사천시 삼천포 죽방렴 어업

위 치

경남 사천시 삼천포해협 일원

면 적

총 면적 2,690ha(어장 면적 4.90ha)

개요

연안 해안의 좁은 물목에 대나무로 만든 “V”자형 발을 설치해 물살의 힘에 실려오는 고기를 통 안에 가두어 잡는 전통적인 방식의 어업활동

특징

어군을 쫓지 않고 통 안으로 들어오는 고기를 상처 없이 건져내는 자연 친화적 전통어업을 지형과 자연환경에 맞게 적응 발전

주변 자연환경 및 지역 주민들의 일상과 삶의 활동이 어우러져 아름답고 독특한 삼천포 죽방렴만의 지역 경관 창출



삼천포죽방렴

사각형 발목 죽방렴



원형 발목 죽방렴

조업 광경


참고 4

 

        국가중요어업유산 신청 대상 지역


유산명칭

대상 지역

특 징

광천

토굴새우젓

가공업

충남 홍성군

광천읍 일원

(47ha)




친환경 토굴에서 숙성하는 광천토굴새우젓은 현재 40개 토굴에서 새우젓이

가공되어 전국으로 유통되며, 전기나 기계가 사용되지 않는 친환경 가공업

강릉

창경바리 어업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심곡해역 일원

(424.7ha)




창경과 다양한 도구를 이용해 미역 등 수산생물을 채취하는 전통 친환경어업

삼천포

죽방렴 어업

경남 사천시

삼천포해협 일원

(총 면적 2,630ha,

어장면적 4.90ha)




연안 해안의 좁은 물목에 대나무로 만든 “V”자형 발을 설치해 물살의 힘에 실려오는 고기를 통 안에 가두어 잡는 전통적인 방식의 어업활동



참고 5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현황 (‘23.12.31. 현재)


지정번호

명칭

지정범위

주요 특징

어업유산 제1

(2015)

*FAO 계중요농업

유산등재(‘23.11.10)

제주

해녀어업

제주도 전역

(14,346ha)

장치 없이 맨몸으로 잠수해 전복, 소라, 미역 등 해산물을 직업적으로 채취하는 전통적 어업방식으로 불턱, 해신당 등 세계적으로 희귀하고 독특한 문화적 가치 존재

어업유산 제2

(2015)

보성

뻘배어업

전남 보성군 벌교읍 장암리 일대(35)

밟으면 매우 깊게 빠지는 아주 미세한 갯벌 진흙 특성 때문에 꼬막 채취를 위한 유일한 어업활동 이동 수단

어업유산 제3

(2015)

남해

죽방렴

경남 남해군 삼동/창선면 지족해엽 일원(537.2ha, 죽방렴23개소)

삼국시대 이래 현재까지 어업인 생계수단으로써 자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반도 유일의 함정어구를 사용한 어로방식으로,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지 않는 대표적인 전통적 어업시스템

어업유산 제4

(2016)

신안 갯벌

천일염업

전남 신안군 천일염전 일대(29.7)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 들여 전통 기술과 노하우를 이용해 바람과 햇볕으로 수분만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전통어업활동시스템

어업유산 제5

(2017)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

전남 완도군 고금면 청용리, 가교리, 봉명리 일대의 지주식 김 양식장(358ha)

얕은 수심과 큰 조수간만의 차 등 양식 어장의 특성을 이용해 김을 자연 햇볕에 일정시간 노출을 반복하면서 생산하는 친환경 전통적 김 양식어업

어업유산 제6

(2018)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전남 무안 탄도 및 신안 선도 일대 갯벌(118.35)

낙지의 생태를 파악하여 재빠르게 맨손으로 포획하는 전통 낙지잡이 어법

어업유산 제7

(2018)

*FAO 셰계중요농업

유산등재(‘23.11.10)

하동광양 재첩잡이 손틀어업

경남 하동군, 전남 광양시 섬진강 하류 일원(140ha)

서식환경이 잘 보존된 기수역에서 거랭이 등의 도구를 사용해서 재첩을 채취하는 어법

어업유산 제8

(2020)

통영거제

돌미역 틀잇대

채취어업

경남통영거제시 견내량 해협 일원(63.6ha)

서식환경이 잘 보존되고 빠른 유속과 깨끗한 수질의 견내량 수역에서 자란 미역을 트릿대(도구)를 이용하여 채취하는 전통어업

어업유산 제9

(2021)

울진울릉 돌곽 떼배 채취어업

경북 울진울릉 돌곽 채취 유역

(39.79),

오동나무 등을 뗏목처럼 엮어 만든 배로 돌곽(돌미역)을 채취하는 어업

어업유산 제10

(2021)

부안 곰소 천일염업

전북 부안군 진서면 곰소리 일대

(5.4)

햇빛과 바람을 이용 자연방식으로 바닷물을 증발시켜 천일염을 생산하는 어업

어업유산 제11

(2021)

신안 흑산 홍어잡이

어업

전남 신안군 흑산도 일대 연근해어장

(6,901.4)

미끼를 사용하지 않는 주낙을 홍어가 다니는 길목에 설치하여 잡는 어업

어업유산 제12

(2022)

경남 거제 숭어 망쟁이 들망어업

거제 6개 처촌계(도장포, 양화, 학동, 선창, 다포, 다대) (69,340)

망쟁이가 숭어 떼의 이동 흐름을 읽고, 들망을 이용해 숭어 떼를 가두어 잡는 전통어업

어업유산 제13

(2023)

진도·신안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

진도군 조도군도, 신안군 흑산군도 마을별 제1종 공동어장(250)

원시어업 형태로 미역을 밭에서 경작하는 작물로 취급하여 미역밭 갯닦기와 물주기 등 서식지 관리로 미역을 채취하는 어업활동

자료: 해양수산부, 20231231일 기준.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용두동 10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서울.아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최관선 | 대표이사: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