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T·H·E) 자람 프로젝트』 운영 계획 |
|
Ⅰ | 추진 체계 |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수업이 이어지면서 학습, 신체 건강, 사회성, 심리·정서 등에서 결손이 발생한 초등 3‧4학년을 대상으로 담임교사 중심의 학습지원(Teaching), 신체 건강 지원(Health), 사회성 및 심리·정서 지원(Emotion)을 통한 개별 맞춤형 성장 지원 프로젝트 |
더 더 (T·H·E) 자람 프로젝트 체계도

[ [ 경기도교육청] 더(T·H·E) 자람 프로젝트 부서별 협력체계
| 부서별 주요 역할 | | ||||||||||||||||||
| | |||||||||||||||||||
|
Ⅱ | 추진 과제 |
목표 초등 3·4학년 학생 발달단계에 맞는 맞춤형 성장 지원 추진 방향 (Teaching) 모든 학생을 위한 맞춤형 학습지원 강화 (Health) 발달단계에 맞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용 (Emotion) 사회성, 심리·정서 회복을 위한 집중 지원 | | ||||||
| | | |||||
영 역 | | 추진 과제 | |||||
학생 맞춤형 학습지원 (Teaching) | | 3‧4학년 전체 | • 더 자람 프로젝트 학년제 운영 | ||||
학습지원 대상학생 | • 학습공백기 없는 맞춤형 기초학력 보장 | ||||||
• AI 활용 맞춤형 학습 대학생 온라인 멘토링 | |||||||
• 학부모와 함께하는 기초학력 책임지도 강화 | |||||||
체육활동 지원 (Health) | | 3‧4학년 전체 | • 신체활동 중심의 체육활동 기반 조성 | ||||
• 365+ 체육온활동 연계 맞춤 프로그램 ‘어깨동무 챌린지’ | |||||||
• 에듀테크 기반 영상 공모전 ‘기지개 체조’ | |||||||
저체력학생 | • PAPS 기반 체력향상 챌린지 | ||||||
사회성, 심리·정서 지원 (Emotion) | | 3‧4학년 전체 | • 학생 상담 및 심리지원 강화 | ||||
• 심리‧정서 회복 상담 프로그램 운영 | |||||||
위기학생 | • 위기 예방을 위한 가족 상담 지원 |
도교육청 | | 학교 | | 지역사회 |
더 자람 프로젝트 학년제 공감대 확산 더 자람 프로젝트 학년제 설명회 더 자람 프로젝트 학년제 행‧재정 지원 체육활동 활성화 계획 수립 및 운영 위프로젝트 학생상담 지원 계획 수립 위기학생 가족상담 프로그램 운영 기획 | 더 자람 프로젝트 학년제 운영 기반 조성 교육공동체 공감대 확산 교원 실천 역량 강화 단위학교 기초학력 책임지도제 강화 체육수업 정상 운영, 틈새시간 신체활동 PAPS 3학년 체험 권장, 4학년 적극 실시 기지개 체조 참여 어깨동무 챌린지 반별 대항전 (희망교 교육장배 축제 출전) 위(Wee)클래스 학생 상담 및 심리지원 강화 사회성 및 심리·정서 회복 상담 프로그램 집중 지원 | 지역 협력을 통한 학습 결손 해소 지역 교육자원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 발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연계 취약계층 지원 지자체와 축제 장소 대여 | ||
교육지원청 | 전문기관 | |||
관내 교원 및 학부모 대상 더 자람 프로젝트 학년제 연수 더 자람 프로젝트 사례 나눔 더 자람 프로젝트 운영 지원 체육활동 활성화 추진 위(Wee)센터 순회상담 지원 강화 | 특수요인 학습지원대상학생 전문적 지원 대한체육회 산하 연맹 협력 위기학생 가족상담 프로그램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