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1월 17일 대전시 대덕구 본사에서 ‘동남권 지역혁신 벤처펀드’의 첫 번째 물기업 투자를 확정 짓고 대상 기업과 투자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 ‘동남권 지역혁신 벤처펀드’란 물산업 및 경남·울산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한국수자원공사 및 울산시, 경상남도, 한국벤처투자가 공동으로 출자하여 물산업 및 지역혁신기업 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21년 3월 한국수자원공사가 참여한 충청지역뉴딜(물산업) 펀드에 이은 2호 물산업펀드이다.
ㅇ `21년 협약체결 이후 ‘22년부터 3년간 모펀드 840억 원(모태 420, 한국수자원공사 300, 지자체 120)을 조성, 민간자금을 결합한 총 6개의 자펀드를 결성하여 1,200억 원 이상의 펀드를 활용하여 물산업 및 경남·울산지역 소재 유망기업에 투자하는 구조이다.
ㅇ `22년에는 BNK벤처투자와 경남벤처투자가 위탁운용사로 선정되어 모펀드와 민간자금을 결합, 400억 원 규모의 자펀드를 조성했다.
□ 첫 번째로 투자유치에 성공한 기업은 친환경 건축구조물을 사업화 중인 ㈜아드보(대표 박승준)와 물을 이용한 저탄소 공기정화 기술을 보유한 ㈜공공(대표 이선언)으로, 이번 계약 체결로 ㈜아드보에 15억 원, ㈜공공에 5억 원의 투자가 진행된다.
ㅇ 한국수자원공사는 이 밖에도 해당 기업들이 고속성장할 수 있도록 테스트베드 제공을 통한 기술 실·검증, 현장 적용 및 멘토링, 국내·외 비즈니스 전시회 동반 참여, 후속투자 연계 등 실효성있는 다양한 지원도 함께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18년부터 자체자금 약 1,000억 원을 투입 `25년까지 4,600억 원 이상의 물산업 특화 펀드를 조성 중이며, 이를 활용한 물분야 유니콘 기업 배출 및 물산업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국내 물산업 투자 마중물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ㅇ 특히, 최근 CES 2023에는 공사가 보유한 혁신기술 10가지를 선보이는 한편 혁신성을 인정받은 국내 물기업 14개 사와 동반 참여, 680여 건의 수출상담, 900만 달러 계약 협의 등 국내 물기술의 우수성과 미래 물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아 큰 호평을 얻었다.
□ 안정호 한국수자원공사 그린인프라부문 이사는 “한국수자원공사는 물종합 플랫폼 기업으로서 앞으로도 물산업펀드 등을 적극 활용하여 지역 균형적인 물산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물분야 혁신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동남권 지역 뉴딜 벤처펀드 개요 1부.
2. 관련 사진 2매(별첨). 끝.
□ 주요내용
◦ (펀드명) 동남권 지역뉴딜 벤처펀드 * 모펀드
◦ (펀드형태)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벤처투자조합’
◦ (업무집행조합원) 한국벤처투자
0
◦ (유한책임조합원) 한국수자원공사(앵커기관), 모태펀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 (펀드규모) 3년간 840억원 이상 * 자펀드 최소결성규모 : 1,200억원 이상
- 최소 결성목표 840억원으로 모펀드 결성 후, 시장상황 및 운용실적 모니터링을 통해 추가 증액(Multiple Closing) 방식으로 펀드 규모 확대
(단위 : 억원, %)
출자자 | 전체규모 | 최초 약정액 (22년) | 1차 증액 (23년) | 2차 증액 (24년) | 출자비율 (%) |
지 자 체 | 울산광역시 | 60 | 20 | 20 | 20 | 7.1 |
경상남도 | 60 | 20 | 20 | 20 | 7.1 |
① | 소 계 | 120 | 40 | 40 | 40 | 14.2 |
② 한국수자원공사 | 300 | 100 | 100 | 100 | 35.2 |
③ 한국모태펀드 | 420 | 140 | 140 | 140 | 49.2 |
④ 한국벤처투자(GP) | 12 | 4 | 4 | 4 | 1.4 |
합 계 (①+②+③+④) | 852 | 284 | 284 | 284 | 100.0 |
< 동남권 펀드 운용 구조(안) > | < ‘22년 출자사업 현황> |
| ◾(1호) BNK 벤처투자 (200억 규모 펀드 5.17 결성 완료) ◾(2호) 경남벤처투자 (200억 규모 펀드 11.1 결성 완료) ◾(투자대상) 물산업(수자원, 스마트시티, 4차산업혁명기술), 지역소재 혁신기업, 규제자유특구 기업 등 * ‘22~’24년까지 매년 400억 규모 펀드 조성 |

|
[사진] 1. 한국수자원공사는 1월 17일 대전시 대덕구 본사에서 ‘동남권 지역혁신 벤처펀드’의 첫 번째 물기업 투자를 확정 짓고 대상 기업과 투자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첫 번째로 투자유치에 성공한 ㈜아드보와 ㈜공공을 포함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의 왼쪽부터 이창우 BNK벤처투자 상무이사, 박상준 ㈜아드보 대표, 안정호 한국수자원공사 그린인프라부문 이사, 이선언 ㈜공공 대표, 조국형 경남벤처투자 대표, 박동학 한국수자원공사 물산업혁신처장) |

|
[사진] 2. 한국수자원공사는 1월 17일 대전시 대덕구 본사에서 ‘동남권 지역혁신 벤처펀드’의 첫 번째 물기업 투자를 확정 짓고 대상 기업과 투자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첫 번째로 투자유치에 성공한 ㈜아드보와 ㈜공공을 포함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의 왼쪽 다섯 번째부터 이창우 BNK벤처투자 상무이사, 박상준 ㈜아드보 대표, 안정호 한국수자원공사 그린인프라부문 이사, 이선언 ㈜공공 대표, 조국형 경남벤처투자 대표, 박동학 한국수자원공사 물산업혁신처장 등) |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