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전문가 모여 정지궤도 환경위성 개선점 찾는다

2021.11.21 12:41:50

◇ 국립환경과학원, 11월 22일부터 이틀간 국내외 최고 위성 전문가가 참여하는 국제 학술회의 개

◇ 올해 1년간 공개한 정지궤도 환경위성 관측 영상 14종의 정확도 평가 및 개선, 환경위성 활용 확
대 방안 논의

                       
□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동진)은 환경위성센터 대회의실(인천 서구 소재)에서 11월 22일부터 23일까지 국내외 위성 전문가가 참여하는 ‘제12차 환경위성 국제 학술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한다. 

 ○ 이 국제 학술회의는 환경위성 사업이 시작된 2010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열렸으며, △미국항공우주국 △유럽우주국 △벨기에 왕립항공우주연구원 △네덜란드 왕립 기상연구원 등 위성 분야 최고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하는 행사이다.

 ○ 또한 우리나라의 정지궤도 환경위성에 이어 발사를 준비 중인 미국의 정지궤도 환경위성(TEMPO, 2022년)과 유럽의 정지궤도 환경위성(Sentinel-4, 2024년) 전문가 등도 참여한다.

□ 이번 국제 학술회의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이 올해 공개한 정지궤도 환경위성 관측 영상 총 14종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개선방안, 환경위성 활용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공개 일자

관측영상 대기질 정보

2021322

8: 이산화질소 전량, 이산화황 전량(화산분화 등 특이사례), 어로졸 광학두께, 유효 운량, 존 전량, 자외선 관련 산출물 3(식물 반응 지수, 비타민D 합성 지수, DNA 영향 지수)

20211029

5: 에어로졸 단일산란 알베도, 자외선·가시광 에어로졸 지수, 구름 중심 기압, 구름 복사 비율, 자외선 지수

2021115

1: 에어로졸 이동량


 ○ 국내외 위성 전문가들은 올해 11월 5일부터 공개하고 있는 환경위성 자료를 활용한 에어로졸 이동량뿐 아니라 재난 대응, 지상 미세먼지(PM10, PM2.5)로의 변환기술 개발 등 환경위성 활용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도 의견을 나눈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위성 활용 극대화를 위해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 한국 국제협력단(KOICA),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가 공동으로 진행 중인 환경위성 공동활용 플랫폼 구축사업 등에 대해서도 발표할 예정이다.

 ○ 이 사업은 환경위성 검증·개선 및 아시아 대기질 감시를 위해 13개국에 지상원격 플랫폼을 구축하고, 환경위성 자료 공유를 통해 아시아 대기질 협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 앞으로 아시아 각국에 고농도 대기오염물질 상시 배출지역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아시아 각국의 대기질 개선정책을 지원하고, 개발이 완료된 환경위성 활용기술 또한 아시아 각국에 적용될 예정이다.  

□ 정은해 환경부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이번 국제 학술회의는 우리나라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국제적인 평가를 받는 자리”라며, “향후 환경위성 활용 확대의 기준점으로 삼아 아시아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대응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제12차 정지궤도 환경위성 국제 학술회의 일정.  2. 전문용어 설명.  끝.

1

 

12차 정지궤도 환경위성 국제 학술회의 일정


일시

시간

(UTC)

표제

강연자

22

(월요일)

12:00

12:05

개최사

정은해 부장

(국립환경과학원)

정지궤도 환경위성

12:05

12:20

환경위성으로부터 관측된 1년간의 아시아지역 대기질 정보

김준

(연세대학교)

12:20

12:40

미국환경위성 알고리즘과 산출물 소개

시용 유

(하버드 스미소니안 센터)

환경위성 산출물검증(I)

12:40

12:55

대기질 국제공동조사 기간 초기 산출 자료

스테판 되너

(막스프랑크연구소)

12:55

13:10

브레멘 알고리즘을 이용한 환경위성 이산화질소 산출물의 검증

안드레아 리히터

(브레멘대학교)

13:10

13:25

히마와리 위성과 환경위성 에어로졸 간의 초기 비교 결과

야스코 카사이

(일본 국립정보통신기술원)

정지궤도 산출물 소개 (I)

12:40

12:55

환경위성 자료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 에어로졸 광학특성 산출

조예슬

(연세대학교)

12:55

13:10

궤도상 시험 중 환경위성 원시자료의 평가 및 개선

강민아

(이화여자대학교)

13:10

13:25

환경위성 오존 알고리즘

김재환

(부산대학교)

13:25

13:40

환경위성 포름알데히드(글라이옥살) 산출 알고리즘 성능 평가

박록진

(서울대학교)

13:40

13:55

환경위성으로 관측된 아시아 지역의 이산화질소 일중 변화

이한림

(부경대학교)

13:55

14:10

환경위성 지표면 반사도 산출

한경수

(부경대학교)

환경위성 활용 (I)

 

14:10

14:25

지리 가중 회귀 알고리즘을 이용한 환경위성 에어로졸과 에어로졸 고도로부터의 초미세먼지 추정연구

쇼바 콘드라군타

(미국 국립해양대기청)

14:25

14:40

플럭스 공동조사 기간 중 지상원격 장비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검증 결과

레이너 볼캐머

(콜로라도대학교)

14:40

14:55

모자이크 기법을 이용한 환경위성 이산화질소 평균장 추정

강상욱

(연세대학교)

14:55

 

질의응답 및 토론

 

23

(화요일)

유럽 환경위성 소개

12:00

12:20

유럽 환경위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환경위성 성능 평가

디에고로욜라

(독일항공우주센터)

정지궤도 산출물 소개(II)

12:20

12:35

환경위성으로부터 관측된 아시아 지역의 시간별 이산화황 전층농도와 화산 이산화황의 변화

이한림

(부경대학교)

12:35

12:50

환경위성의 효율적 배드픽셀 복원에 관한 연구

이원진

(국립환경과학원)

12:50

13:05

환경위성 자료를 이용한 포름알데히드 및 글라이옥살 산출

이사벨 드 스멧

(벨기에 왕립항공우주연구원)

13:05

13:20

코브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환경위성의 이산화황산출 결과

니콜라스 테이

(벨기에 왕립항공우주연구원)

13:20

13:35

환경위성 이산화질소 및 포름알데히드 산출 결과

권형안

(하버드 스미소니안 센터)

환경위성 산출물검증 (II)

13:35

13:55

환경위성 검증 계획(시작 공동조사와 아시아판도라 네트워크)

장임석

(국립환경과학원)

13:55

14:10

미국 환경위성 산출 오존과 환경위성 오존 결과의 비교

클라우스 피터 휴

(독일항공우주센터)

14:10

14:25

미국 환경위성 산출 오존과 환경위성 구름 결과의 비교

로니 러츠

(독일항공우주센터)

14:25

14:40

지상원격장비를 이용한 환경위성 이산화질소 및 포름알데히드 검증 결과

최용주

(일본해양지구과학기술청)

14:40

14:55

환경위성자료를 이용한 일산화 브로민 산출

정희성

(연세대학교)

14:55

15:15

후속 환경위성 개발 계획

이한림

(부경대학교)

15:15

 

질의응답 및 토론

 


2

 

    전문용어 설명


 ○ 정지궤도(Geostationary Orbit): 지상에서 약 36,000km 떨어진 우주에서 위성이 지구의 자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지구상에서 보았을 때 항상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궤도

 ○ GEMS(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환경부의 정지궤도 환경위성 탑재체로 1,000개의 파장을 관측하여 대기층 전체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파악

 ○ TEMPO(Tropospheric Emissions: Monitoring of Pollution): 미국 나사(NASA)에서 개발 중인 정지궤도 환경위성 탑재체로 2022년 이후 발사 예정

 ○ Sentinel-4: 유럽우주국(ESA)에서 개발 중인 정지궤도 환경위성 탑재체로 2023년 이후 발사 예정

<세계 3대 정지궤도 환경위성>


 

GEMS

TEMPO

Sentinel-4

발사기관

NIER(국립환경과학원)

NASA(미항공우주국)

ESA(유럽우주국)

관측영역

아시아-태평양

북아메리카

유럽, 북아프리카

주요산출물

오존,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히드, 에어로졸

오존,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히드, 에어로졸, 메탄

오존,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히드, 에어로졸, 메탄

발사연도

2020219

2022년 이후

2023년 이후

공간해상도

8 × 7 km at 38°N

9 × 7 km at 38°N

8 × 8 km at 38°N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용두동 10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서울.아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최관선 | 대표이사: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